식품&의약정보

인삼제품 ‘세계시장’ 터졌다!

15년만에 세계규격화 통과로 각종 인삼제품 수출에 청신호

내년 7월이면 인삼제품의 세계규격화 이루어진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와 한국식품연구원(원장 권대영)은 최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제27차 코덱스 가공과채류분과위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인삼제품 세계규격(안)이 심의를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세계규격 등재를 위한 이번 4단계 심의에서 회원국 전체의 합의를 도출함에 따라 인삼제품 세계규격 등재 조기 추진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당초 목표였던 2017년 인삼제품 세계규격 등재 계획보다 2년 앞당겨 이루게 되는 쾌거이다.

분과위원회에서 심의가 통과됨에 따라 내년 7월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코덱스 총회의 승인절차만 거치게 되면 인삼제품은 명실 공히 코덱스 세계규격으로 등재된다. 인삼제품의 코덱스 세계규격 등재는 세계규격화를 추진한 지 15년 만에 이루어낸 어렵고도 긴 여정의 산물이다. 인삼제품 코덱스 규격화를 제안할 2000년 당시만 해도 인삼은 거의 모든 국가가 식품이 아닌 의약품으로 간주했었다. 그동안 각 국 대표들과의 개별 접촉을 통한 꾸준한 이해와 설득 끝에 인삼제품이 지난 2009년에 아시아 지역규격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번 가공과채류분과위 심의를 통해 186개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하는 세계규격(안)이 통과되었다.

코덱스 세계규격화를 통해 거둔 가장 큰 수확은 인삼을 의약품으로 간주하던 유럽, 중남미 및 태국 등을 포함한 전 세계시장으로 인삼제품을 수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가 인삼 종주국으로서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 측면 등에서도 가장 앞선 국가임을 다시 한번 국제적으로 확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인삼제품이 세계규격으로 등재되면 우리나라는 지난 2001년 등재된 김치에 이어 2개의 식품이 코덱스 세계규격을 보유하게 된다. 고추장, 된장은 이미 아시아 지역규격으로 2009년에 등재된 바 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우리 전통식품의 세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오는 11월 일본 동경에서 개최되는 코덱스 아시아지역조정위원회에 막걸리와 삼계탕을 새롭게 제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성수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