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논밭예술학교가 그곳? 파주 헤이리에 자리 잡아

서울에서 30분만 벗어나도 이색적인 농사체험을 하면서 예술과 농사를 접목할 수 있는 체험을 할 수 있다. 파주 헤이리에 자리 잡은 논밭예술학교가 그곳이다.

 

지난 26일 농촌체험 팸투어인 해피버스데이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 마을에 자리 잡은 논밭예술학교를 찾아 밭에서 콩도 직접 수확하고 수확한 콩으로 짜장 덮밥과 유자청 콩샐러드를 만들어 먹으며 수확의 기쁨과 농사의 소중함을 체험했다.

 

특히 자기가 먹다 남은 잔반으로 퇴비를 만들어보면서 자연의 순환섭리에 대해 배웠다. 이날 체험자들은 집에서 간단하게 기를 수 있는 콩 키트를 받아 도시농부 되기 체험도 경험했다.

 

이날 해피버스데이에 참가한 남미현씨(경기 의정부, 21 )는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도 농업에 관심있는 친구들이 늘고 있는 추세”라면서 “직접 밭에서 콩을 수확하면서 생명을 길러내고 자연을 순환시키는 농부의 노고와 농사의 중요성에 대해 더 깊게 알게 됐고 농업이야말로 예술보다 더 숭고한 작업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는 소감을 밝혔다.

 

 해피버스데이(HappyBusday)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주관하는 농촌여행프로그램으로 도시민들이 농축산물의 생산(1차 산업), 가공(2차 산업)을 넘어 체험·관광(3차 산업)과의 결합을 통해 6차산업을 실현하고 있는 농촌 현장을 매주 찾아간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