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노인복지청 신설 추진 시동… “이종배 의원, 노인복지청 신설하는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2040년에 전체인구의 32.3%에 달해

이종배 의원(새누리당, 충북 충주시)은 26일(금), 보건복지부에 노인 문제를 전담 추진하는 노인복지청을 신설하는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종배 의원이 통계청으로부터 받은 “시도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10년 545만명(11.0%)에서 2030년 1,269만명(24.3%)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고 2040년에는 1,65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32.3%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당수 농촌지역이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지 오래로, 현재 73개 시·군·구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고 있다.

미국·일본·영국·호주 등 주요 선진국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5%가 넘어서는 시점부터 노인전담부처 및 조직을 신속히 만들어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정책추진을 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 관련 정책들이 각 부처에 분산되어 사업이 중복되거나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지자체가 별도로 고령화 대책을 세우고 있는 실정이다.

이종배 의원은 “우리나라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가 출산율 감소와 맞물려 진행되어 경제활동 인구의 감소, 사회보험 재정 부담 가중 등을 초래함으로써, 중요한 국정과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고령화 문제 뿐만 아니라 노인이 잘 사는 사회를 조성해 장기적으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복지청을 신설하고자 한다.”고 법안 개정 취지를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