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식물계 황소개구리 ‘가시박’ 제거”

농촌진흥청, 10월 초까지 줄기 제거 등 적극 방제 당부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식물계의 황소개구리’로 불리는 외래잡초 ‘가시박’이 농경지로 유입돼 피해를 줌에 따라 확산 방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적극적으로 없앨 것을 당부했다.

가시박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농작물의 영양분을 빼앗아 가며 덩굴줄기 아래의 농작물은 광합성을 할 수 없어 말라죽게 된다.

농촌진흥청 보고(2008)에 따르면, 그동안 가시박은 도로변(46%), 강·하천변 (24%), 농사 짓지 않는 땅(18%), 밭 주변(8%), 주택가(4%) 순으로 농경지에 직접 발생한 경우는 미미했다. 또, 우리나라에는 가시박으로 인한 작물별 피해상황은 조사된 바가 없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옥수수밭에 10㎡당 가시박 15개체∼20개체가 발생하면 수확량이 80% 줄고, 28개체∼50개체가 발생하면 수확량이 90%∼98% 준다는 보고가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경기 안성의 인삼밭과 옥수수밭, 경북 안동의 논에 가시박이 침입해 피해를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빠른 시간 안에 확산을 막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가시박은 도로변, 강·하천을 따라 1차 확산된 후 인근 지역(농경지)으로 2차 확산되므로 빨리 걷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종자가 익기 전인 8월 하순부터 10월 초까지 덩굴줄기를 없애거나, 원줄기 밑둥치를 낫 등으로 잘라내야 이듬해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에 따라 가시박 확산 방지를 위한 홍보 책자를 긴급 제작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배포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