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농가부채 32조원…농가당 2700만원 해마다 증가

쌀 농가 부채는 전년대비 42%로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진안·무주·장수·임실)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가 부채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이후 농가 부채 총액에 큰 변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농가 호당 부채는 증가하면서 농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농가 114만 2000가구의 전체 부채는 2013년 현재 31조 2000억원으로 작년보다 약간 감소하기는 했지만 2008년 이후 다소의 증감을 반복할 뿐 큰 변화는 없다. 농가 1호당 부채는 2700만 36만원으로 작년보다 약 10만원 정도(04.%) 증가했다. 또한 7년 전인 2008년과 비교해 농가는 10만 가구 가까이 감소했지만 농가 1호당 부채는 오히려 약 200만원 정도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4500만 37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제주도가 4500만 22만원, 경상남도 3000만 74만원, 충청남도 2600만 68만원, 전라남도 2600만 57만원, 강원도 2200만 10만원, 전라북도 2100만 61만원 순이다. 지역별 부채 증가 추이는 2012년 대비 전남이 43.4%나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충청남도 36.3%, 제주도가 27.1% 순이다. 반면 충북의 농가 부채는 38.7%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강원도 24.5%, 경북 19.1%, 전북 14.8% 순이다.

영농 형태별로는 화훼농가가 1호당 평균 7200만 69만원으로 가장 많은 빚을 지고 있었으며, 축산농가 6800만 79만원, 과수농가 3000만 13만원, 채소농가 2400만 65만원, 논벼 1900만 19만원 순이다. 벼 농가의 부채는 1900만 19만원으로 전년 대비 42.2%나 증가해 다른 품목에 비해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농가의 증가폭 역시 37%를 넘고, 채소 농가의 부채 증가율 역시 26%에 가깝다.

연령별로 볼 때 60세 미만의 농가부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 농업의 경쟁력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70세 미만 부채는 3000만원에 약간 미치지 못하고, 70세 이상 농가는 1000만원이 채 되지 못하지만 40세 미만의 농업인은 약 4400만원, 40세 이상 50세 미만은 4500만원, 50세 이상 60세 미만은 5100만원으로 평균 농가부채보다 훨씬 웃돌았다.

박 의원은 “농가부채가 심각한 상황임에도 정부는 이를 해결하려는 의지조차 없어 보이며, 오히려 특별한 대책 없이 FTA나 쌀 관세화를 통해 시장개방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밝히고 “지금이라도 농가부채 해결을 위해 장기적으로는 농가부채 해결을 위한 종합계획을 세우고, 단기적으로는 이자감면이나 정책자금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