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대한민국식품대전’ 발효식품 대성황

발효식품 소비촉진 통해 전통식품 산업 활성화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가 주최하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공동주관하는 '2014 대한민국식품대전’이 전국 381개 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9월 2일부터 9월 5일까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됐다.<본지 8월15일자 참조>

 

이번 대한민국식품대전은 2008년 코리아푸드 엑스포로 시작해 올해 6회째를 맞이하는 식품대전이다. 올해 식품대전은 ‘전통발효식품의 향연–발효 꽃이 피었습니다’ 슬로건으로 우리나라의 우수한 전통발효식품의 가치와 문화를 알리고 본격적으로 전통발효식품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으며, 전통발효식품의 소비촉진을 통해 전통발효식품 산업을 발전시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목적으로 추진됐다.

 

이를 위해 이번 식품대전은 팔도전통발효식품관, 식품명인관, 전통주관, 제수용품관, 통합정책홍보관, 코리아아그리푸드컬쳐쇼, 부대행사장 등 7개 전시관으로 구성되고, 전통발효식품 체험행사와 전통발효식품을 주제로 하는 국내외 학술 심포지움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렸다. 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