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쌀 생산비 줄이는 무논점파, 농가 호응도 높아

지난해 1만 2,193ha 5년 만에 120배…2017년까지 확대 보급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우리 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개발한 벼 무논점파 재배기술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무논점파는 파종기를 이용해 물을 채웠다 뺀 논에 싹을 틔운 볍씨를 6립 정도씩 모아 뿌리는 방법이다. 무논점파는 육묘를 위해 못자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따로 모내기를 할 필요가 없어 쌀 생산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기존의 기계이앙보다 육묘이앙단계에서 생산비는 81.2%(1ha당 23만 5,000원), 노동력은 35.3%(1ha당 22.3시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1mm∼2mm 정도 싹을 틔운 종자1)를 파종하는 만큼 씨를 세운 비율2)이 높고 벼 쓰러짐에도 강하다.

농촌진흥청이 무논점파 재배기술을 전국에 시범 보급한 결과, 재배면적이 2008년 100ha에서 지난해 1만 2,193ha로 5년 만에 120배 가량 늘었다. 시범 농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무논점파의 작업성능이 좋고, 운전조작이 쉬우며 파종상태가 좋아 농가에 필요한 기술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벼 무논점파를 전국에 10만ha 재배하면 해마다 1,020억 원의 생산비를 줄여 보다 안정적으로 농가소득을 올릴 수 있을 전망이다.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한희석 박사는 “2017년까지 8만 4,000ha로 벼 무논점파 재배기술을 확대 보급해 우리 쌀의 경쟁력을 키우겠다.” 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