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쌀 소득’ 해마다 감소…곳간에 거미줄!

박민수 의원 “쌀 관세화 추진은 정부 농가 소득정책 무능 드러내” 지적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진안‧무주‧장수‧임실)이 국회예산정책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의 쌀 관세화 추진 발표 등으로 쌀 시장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쌀 수익률과 소득률이 해마다 낮아지고 있어 농식품부의 쌀 농가의 소득 및 대규모 농지화 정책에 대한 한계가 여실히 드러났다고 밝혔다.

 

쌀 수익률은 2000년 48.3%, 2004년 43.0%, 2008년 37.9%, 2013년 32.5%로 13년 사이에 무려 16% 가량 감소했다. 쌀 소득률 역시 2000년 73.1%, 2003년 66.7%, 2008년 61.6%, 2013년 59.9%로 약 12% 정도 줄어들었다. 농식품부에서는 생산성 향상 및 농가소득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지만 지속적인 쌀 수익률과 쌀 소득률 감소로 정책적 한계와 무능을 드러냈다.

 

또한 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영농규모화 정책이 진행되고 있지만, 1ha 미만의 영세농 비율이 1990년 74.2%, 2000년 72.9%, 2005년 72.7%, 2010년 73.3%, 2013년 72.9%로 큰 변동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전체 재배면적의 28%는 영세농이 경작하는 것으로 대부분 고령농이 차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일찍부터 영농규모화 정책은 대규모 농지와 기계화 영농으로 생산비를 낮추어 쌀 농가소득 향상으로 경쟁력 높은 농업을 육성하겠다고 하지만 이 역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2004년 ‘농업·농촌종합대책 수립시 쌀산업의 경우 개방으로 쌀값이 하락하더라도 경쟁할 수 있는 6ha 수준의 쌀전업농 7만호를 2013년까지 육성하여 전체 쌀 생산량의 50%를 담당하는 목표를 설정한 바 있지만 이 역시 달성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최근 3년간 5ha 이상 농가수는 기껏 2만 3,000호로 당초 목표인 7만호에는 근접도 하지 못하고 있다.

 

박 의원은 “쌀 산업의 경쟁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 쌀 수익률 및 소득률이 매년 감소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쌀 관세화가 타당한 것인지, 쌀 관세화 대책으로 내놓는 농식품부의 정책이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고 밝히고 “규모화도 중요하지만 영세 고령농의 수입을 증대하고 안정적으로 영농에 종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