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박람회 다양한 이벤트!

국립휴양림, 맞춤형 특화 산림교육 푸름 프로그램 등 선보여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서경덕)는 지난 8월1일부터 5일까지 강원도 화천에서 개최된 ‘2014년 대한민국 산림박람회’에서 국립자연휴양림의 맞춤형 특화 산림교육프로그램을 선보이고 14,000여명의 관람객들에게 보급하였다.

 

국립휴양림은 언제나 푸름(PLUM)”이라는 주제로 참가한 이번 박람회에서 휴양림의 특화 산림교육프로그램인 푸름(PLUM) 산림교육프로그램과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공식프로젝트를 대형 나무도감 체험, 향기ㆍ촉감 키트체험, 힐링ㆍ에듀 다트게임 등을 통해 놀이와 병행하여 체험할 수 있게 하여 가족단위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또한, 산음자연휴양림의 스트레스 자가측정 및 교육교재인 개구리 알을 활용한 향기치유 방향제 만들기, 중미산휴양림의 알쏭달쏭 산(山)퍼즐 체험을 통해 휴양림의 산림문화ㆍ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도 강화했다.

 

서경덕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이번 산림박람회를 통해 본격적으로 선보인 국립휴양림의 특화된 산림문화ㆍ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휴양 자원을 활용한 공익가치 창출과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맞춤형 휴양서비스 제공이 보다 활성화 되고 휴양림이 교육의 장으로 보다 활발히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립자연휴양림 산림문화교육프로그램 이용자는 매년 13%내외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 한 해 동안 98천명이 참여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