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포획용 국산 트랩 나왔다!

범용 노린재류 포획 트랩 ‘로케트트랩’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노린재를 종류에 관계없이 대량으로 잡을 수 있는 ‘로케트트랩’을 개발해 특허출원 했다고 밝혔다.

 

노린재는 잡곡과 두류, 과수를 흡즙해 수량과 품질을 떨어뜨린다. 현재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인 트랩은 노린재에 따라 종류가 다르고, 수입산은 효과는 낮고 가격이 비싼 편이다.

 

이번에 개발한 ‘로케트트랩’은 원형 포집통 안의 페로몬을 아래로만 방출하게 만들어 날개 쪽의 유인판으로 노린재를 불러 모아 포집통 안으로 쉽게 유인할 수 있도록 했다.

 

‘로케트트랩’의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포획 효과는 통발트랩 보다 약 2배, 펀넬트랩보다 약 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갈색날개노린재의 포획 효과는 미국산 트랩보다 약 8배 높았다. 개발된 트랩을 농가에 빠르게 보급할 수 있도록 실용화재단을 통해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또한, 영농활용기술로 추진해 현장 농가에 기술 지원과 교육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잡곡과 배순도 박사는 “‘로케트트랩’ 개발로 고품질 농산물의 친환경 안정 생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며, “앞으로 주요 해충 외에도 다른 해충을 대상으로 유인효과 실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라고 전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