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협 ‘안심계란’ 공동판매 나섰다! 농협안심축산분사와 대전충남양계농협 협약식 가져

농협안심계란 판로확대와 등급란, 유정란 판로개척에 매진하기로

안심계란 생산 및 판매를 위해 농협중앙회 안심축산분사(사장 함혜영)와 대전충남양계농협(조합장 최성천)이 7월 28일 서대문구 소재 안심축산분사 회의실에서 공동협력사업 MOU를 체결했다.

 

그동안 농협안심계란은 농장인증제를 통한 안전란 생산을 위해 명품 농장관리 7단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3무(무항생제, 무착색제, 무산란촉진제) 상태의 안전란을 생산하여 지난해 3억 5천만개를 시장에 공급하였으며, 올해 6억개 이상을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농협안심축산분사에서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일 20만개의 안심계란을 안정적으로 조달하여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였으며, 대전충남양계농협은 조합원이 생산한 최고 품질의 계란을 안정적으로 유통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게 됐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함혜영 안심축산분사장은 “대전충남양계농협과의 안심계란 공동협력사업은 서로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상생과 발전의 협약”이라며, “조합원이 생산한 안전한 계란을 잘 팔아주는 역할 수행을 통해 판매농협 구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안심계란 명품농장관리 진단프로그램 7단계 점검요소를 보면 1단계 안심사료진단 → 2단계 음용수진단 → 3단계 차단방역/소독관리진단 → 4단계 위생관리진단 → 5단계 계사 및 농장시설진단 → 6단계 항생제 및 미생물검사 → 7단계 콜드체인진단으로 점검이 이뤄진다.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