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촌 소멸 위기...“활기찬 농촌! 농협이 함께!”

- 이성희 농협중앙회장 “농촌 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 해결 위해 새로운 농촌운동 전개할 것"
- 농촌 소멸 메가트렌드 대응 위한 농협 역할 강화 다짐

 

농협중앙회 이성희 회장은 7월 26일 세종시에서 열린 농식품부출입기자와의 간담회에서 농촌 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 해결에 동참하고 활기찬 농촌을 만들기 위한 농협 역할 강화방안 4대 목표를 발표했다.

농협은 이를 위해 '22년 하반기에 전사적인 역량을 결집하기로 하고 4대 목표인 활기찬 농촌, 튼튼한 농업, 잘사는 농민, 신뢰받는 농협 구현을 위한 실천과제를 수립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첫째, 활기차고 살고 싶은 농촌 만들기를 위해 “국민·정부·기업이 함께하는 범국민적 농촌운동인“100년 농촌 운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농산물 시장 개방 및 농촌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농업경쟁력을 확충할 예정이다.
   
또, 농축협과 기업간 상호교류 사업인 도농사랑운동, 고향사랑 기부제 정착을 견인하여 농산물 수요 확대에도 노력할 것이다.

둘째, 튼튼한 농업 육성을 위한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해 디지털 영농종합플랫폼인 '오늘농사'를 고도화하여 농업전반에 디지털이 일상화 되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팜 육성을 위해 보급형 스마트팜 모델 발굴, 2027년까지 스마트 팜 선도농가 300가구 육성, 연차별 종합 컨설팅 제공 등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 이성희 회장 "농업·농촌의 위기 극복 위해 농민들 농업에만 집중할 수 있어야"


- 활기찬 농촌, 튼튼한 농업, 잘사는 농민, 신뢰받는 신뢰받는 농협실현에 총력

 

 

셋째, 잘사는 농민 육성을 위해 농가 경영안정책으로 농가 생산비 절감을 위한 영농비 지원은 물론 금융부담 완화 방안으로 '새출발 농촌희망 저금리대출' 상품(1인당 최대 5천만원, 최저 2.0%, 1조 한도)을 지난 7월1일 출시하였다.

아울러, 식량자급을 위한 밀 산물 수매 시범사업, 두류 계약재배 사업 등 정부 정책을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예정이다.


넷째, 신뢰받는 농협 구현을 위해 기본과 원칙에 충실한 정도경영 추진으로 대외신뢰도를 제고하고, 국민행복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이성희 농협중앙회장은 “농촌 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농촌운동을 전개할 예정이며, 농업·농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 농민들이 농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다시 활기찬 농촌'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농협은 지난 6월 7일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한 범국민적 어려움 극복에 동참하고 농민 경영안정 지원을 위해 발표한 3,600억원 규모의‘국민과 함께하는 따듯한 동행’과 관련하여 7월 현재 1,923억원을 지원하였으며, 연말까지 국민과 농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전사적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