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한국농협김치... 'K-농산어촌 한마당'에 선보여

-‘2022 K-농산어촌 한마당’ 축제 참여로 소비자에게 한발짝 더!

 

농협(회장 이성희) 경제지주는 3일부터 5일까지 서울 aT센터에서 개최되는 '2022 K-농산어촌 한마당' 축제에 참여하여 지난 4월 새롭게 출시한 ‘한국농협김치’를 선보인다.

이번 행사는 정책홍보관, K-푸드관, 관광홍보관 , 체험관, 국민건강증진관 등 5개 전시관으로 운영되며, 농산어촌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다양한 정책·산업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다.

한국농협김치는 K-푸드관에서 김치 주원재료 배추, 고춧가루를 포함하여 가정용 소포장 김치 11종을 전시하고, 6월 3일부터 4일까지 이틀간 열무김치(500g), 포기김치(900g), 총각김치(500g), 파김치(400g) 등 소포장 김치 4종을 시중 판매가 대비 40~5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또한, 구매고객 모두에게 맛김치 200g을 사은품으로 증정하는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한다.

농협경제지주 우성태 농업경제대표이사는 “이번 행사가 한국농협김치를 국민 여러분께 더욱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면서 “한국농협김치를 포함해 우수한 우리 농산물을 알리고 판매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전했다.

 


한국농협김치는 지난 4월 전국의 8개 농협 김치공장을 통합해 출범한 한국농협김치조합공동사업법인의 대표 브랜드로, HACCP 인증을 받은 자체 공장에서 100% 국산 농산물을 원료로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직접 생산하기 때문에 안심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