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공공비축미 33만 2천톤 매입...40kg당 75,140원씩 작년보다 14% 높아

공공비축미곡 매입가격은 벼 1등급 기준 40kg 포대당 75,140원으로 작년 매입가격보다 14.3% 높은 수준

 

2020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가격 75,140원/40kg, 1등급 기준

공공비축미곡 350천 톤 중 332천 톤 매입 완료

"통상 시·도간 매입 과·부족 물량을 조정하여 350천톤을 매입하나, 올해는 정부양곡 공급이 계획되어 있어 시·도간 물량 조정을 실시하지 않아 당초 계획보다 적은 물량을 매입"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수확기(10월~12월) 산지 쌀값(54,121원/20kg)에 따라 2020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가격을 벼 1등급 기준, 40kg 포대당 75,140원으로 확정하였다.

  

이는 2020년 수확기(10월~12월) 전국 산지 쌀값 평균을 벼 40kg 기준으로 환산한 가격이며, 작년 매입 가격(65,750원/40kg)에 비해 14.3% 높은 수준이다.

수확기(10∼12월) 산지 쌀값은 (‘19) 47,491원/20kg → (’20) 54,121원/20kg이다.

한편, 피해 벼 잠정 등외 A등급은 40kg 포대당 53,940원(40,460원/30kg)으로 결정되었다.

 

정부는 공공비축미곡 매입에 참여한 농업인에게 공공비축미곡 확정가격에서 이미 지급한 중간정산액 30,000원/40kg(피해 벼 20,000원/30kg)을 제외한 차액을 연내 지급할 계획이다.

  

최종정산금은 12월 30일부터 31일까지 지역농협에서 농가별 개인 통장으로 계좌이체를 통해 일괄 입금되며, 이를 통해연말 농업인 자금 유동성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매입대금 지급을 통해 농가에 약 5,296억 원(피해 벼 10억 원 포함)을 추가 지급하게 될 예정이며, 이미 지급한 중간정산액 총 3,457억 원(피해 벼 9억 원)을 포함하면 수확기 농가에 벼 매입대금으로 8,753억 원(피해 벼 19억 원)을 지급하게 된다.

 

올해에 매입한 공공비축미곡은 332천 톤(공공비축 321, APTERR* 미곡 10, 피해벼 1)으로 계획 대비 95%를 매입하였다.

  

올해 쌀 생산량 감소로 정부관리양곡 공급(11.12., 37만톤 범위 내 공급계획 발표)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수급관리 차원에서 통상적인 시·도간 매입 과·부족 물량 조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 특·광역시에서 배정된 공공비축 계획 물량을 포기하면 타 시·도로 해당 계획 물량을 조정하여 전체 공공비축 매입물량(350천톤) 달성한다.

 

농식품부 박수진 식량정책관은 “올해는 기상이변에 따른 쌀 생산량 감소로 농업인의 어려움이 컸지만, 쌀값이 상승하여 농가소득에 버팀목이 됐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내년에는 재해에 대비한 안정생산, 쌀 품질 고급화, 소비 확대 등을 지속 추진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쌀 수급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