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촉성딸기 '난방비' 절약 노하우(?)

농진청, 딸기 생장부를 따뜻하게 ‘난방비 줄고 수량 늘어’
"부분난방, 양액 온도 조절 복합 기술 적용 효율적"

딸기를 수경 재배할 때 겨울철 난방비는 줄이고 수량은 높일 수 있는 부분 난방 기술과 새로 개발한 양액(배양액) 온도 조절 기술이 화제다.

딸기 수경재배 농가는 전체 딸기농가 34% 가량으로 12월부터 이듬해 4~5월까지 수확하는 속성재배를 하면서 경영비의 8∼12%를 난방비로 지출한다. 기후변화로 겨울철 저온인 날이 늘면서 난방비 부담은 증가하는 실정이다.

 

농촌진흥청이 이미 개발해 보급하고 있는 딸기 부분난방 기술은 난방장치(온수보일러, 히트펌프)를 이용해 23도(℃)의 온수를 만들고 이 온수가 순환하는 배관을 딸기의 생장점이 위치한 줄기 아래쪽(지제부)에 가까이 붙여 줄기 하부를 따뜻하게 하는 기술이다.

 

 

딸기의 생장점이 온도에 민감한 생리적 특징을 활용해 생장점 주변 온도만 높게 관리함으로써 온실 전체를 난방하는 기존 방식보다 난방에너지를 아끼면서 수량을 늘릴 수 있다.

 

난방 배관으로 들어가는 물 온도를 23도(℃)로 데우고 공간 온도를 5도(℃)로 관리한 결과, 온실 전체를 8도(℃)로 관리하는 기존 방식보다 수량이 25% 증가했다.

특히 히트펌프(공기열원)를 사용하면 난방에너지가 기존보다 24% 줄고 난방비는 57% 절감됐다.

 

이번에 새로 개발한 양액 온도 조절 기술은 부분 난방에 사용한 23도(℃) 온수를 양액 원수(原水)로 사용함으로써 양액을 기존 10∼16도(℃)로 공급하는 방식보다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

 

연구진이 부분 난방에서 난방수로 사용하고 거둬들인 23도(℃) 온수를 양액 원수로 다시 사용한 결과, 양액 온도를 조절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수량이 81% 늘었다.

이는 양액 온도가 23도(℃)일 때 뿌리부 온도가 상승하고 딸기의 양액 흡수율이 증가하며 적정 배액률이 유지됐기 때문이다.

 

딸기 부분 난방 기술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양액 온도 조절 기술은 농가 실증 시험을 앞두고 있다.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영농 현장에 빠르게 보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충근 시설원예연구소장은 “부분 난방과 양액 온도 조절 기술을 수경재배 딸기 농가에 보급해 난방비는 절감하고 생산성은 높이는 똑똑한 딸기 재배기술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