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백종원, 한돈 다릿살 소비촉진에 박차 

한돈자조금, ‘국민 요리 스승’ 백종원 대표 새 홍보대사 위촉
10월 1일, 한돈데이 맞춰 신규 TVCF 온에어… 백종원, 한돈 다릿살 소비촉진 홍보 박차 
한돈자조금 하태식 위원장, ‘대한민국 대표 요식기업인’ 백종원 대표 한돈 홍보대사로 위촉
한돈데이 기념 마이크로사이트, 백종원 영상 홍보 및 백종원 3행시 댓글 이벤트 등 진행
대국민 ‘한돈 구매 인증샷’ 이벤트. 전국 정육점 1,000개소에서 백종원 비밀 레그시피 한정 배포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최근 신뢰도 높은 요식기업인이자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백종원 대표를 새로운 ‘한돈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한돈자조금 관계자와 백종원 대표는 최근 한 자리에 모여 한돈 홍보대사 위촉식 및 간담회를 가졌다. 한돈자조금 하태식 위원장은 한돈 배지와 위촉패를 전달하며 한돈이 국민에게 더욱 사랑받을 수 있도록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레시피 개발, 식자재 추천 등을 통해 ‘한돈 다릿살’이 더욱 소비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를 부탁했다.

 

백종원 한돈 홍보대사는 “요식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모든 사람이 즐겨 찾고 맛과 영양이 뛰어난 한돈 홍보대사가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 “특히 한돈 다릿살은 방송 프로그램에서도 밝힌 적 있듯이 보편적인 레시피가 있다면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는 식재료”라며 “한돈 홍보대사로서 한돈의 우수성은 물론 소비자들이 잘 모르는 다양한 부위와 조리법 등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돈자조금은 한돈데이인 10월 1일부터 백종원 대표가 출연한 ‘밥상 위에 착~’ TV 캠페인을 온에어 한다. 한돈의 숨겨진 만능부위인 한돈 다릿살의 다양한 요리법과 장점을 ‘착착’ 감기게 표현한 감각적인 영상으로 국민의 눈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같은 날 온라인에서는 한돈데이 기념 마이크로사이트를 오픈해 한돈데이 기념 한돈몰 기획전 할인 행사를 안내하고, 참여 이벤트를 진행한다. 한돈데이 사이트에서는 ‘백종원 3행시’ 등 댓글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인스타그램 페이스 필터 등 다양한 한돈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다.

 

‘2020 한돈데이 인증샷’ 이벤트를 통해 오프라인에서도 백종원 홍보대사를 만나볼 수 있다. 전국 1,000여 개 정육점에 부착된 이벤트 포스터 앞에서 구매한 한돈을 들고 인증샷을 찍어 #3696 혹은 개인 SNS에 올리면 한돈 선물세트, 굿즈 세트, 육포 세트 등을 받을 수 있다. 가장 많이 태그된 정육점에도 총 10곳에 백화점 상품권을 증정하며 동네 정육점을 응원하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또한 해당 정육점에서는 백종원 대표가 직접 개발한 뒷다릿살 레시피가 담긴 특별한 리플렛을 배포할 예정이다. ‘한돈 비밀 레그시피’ 리플렛은 각 정육점당 100개 한정 수량으로, 뒷다릿살을 구매하는 소비자라면 받아볼 수 있다.

 

한돈자조금 하태식 위원장은 “백종원 홍보대사는 다양한 경험을 통한 정보를 소비자와 가까운 곳에서 소통하는 공인으로서 우리 돼지 한돈의 장점을 알리기에 최적화된 인물이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국가대표 외식 사업가의 참신한 감각과 아이디어로 밥상 위의 국가대표인 한돈에 생기를 불어 넣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10월 1일 한돈데이에는 매년 개최했던 대국민 축제를 개최하지 못하지만, 10월 한 달 내내 즐길 수 있는 비대면 할인행사와 이벤트를 준비했으니 모두 한돈데이를 잊지 않고 건강하게 즐겨주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