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난(蘭) 바이러스‘ 감염 진단 도구 전국 보급

‘난(蘭) 바이러스’ 이제 현장서 바로 진단
진단 도구 25일부터 전국 보급…2분 안에 감염 여부 확인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난과(蘭科) 식물에서 나타나는 2종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현장에서 바로 확인하는 진단 도구(키트)를 개발하고 전국에 보급한다.

 

난윤문바이러스(ORSV)와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CymMV)는 난 재배 농가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바이러스로, 품종에 따라 70~80%가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지만 그간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다.

 

난윤문바이러스에 감염된 난은 초기에는 의심 증상이 없다가 점차 잎에 괴사 반점을 동반한 잎 뒤틀림 증상이 나타난다.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는 난윤문바이러스와 복합 감염 형태로 나타나는데, 감염되면 잎이 누렇게(황화 증상) 되면서 잎맥색이 다른 부분보다 뚜렷해져 띠를 두른 것처럼 보인다.

 

이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병이 진전될수록 증상이 뚜렷해지고 꽃과 꽃대에도 괴사 증상이 나타나 상품성이 떨어진다.

이번 진단 도구를 활용하면 현장에서 난윤문바이러스와 심비디움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2분 안에 확인할 수 있다.

 

심비디움, 호접란, 덴드로비움, 온시디움 같은 서양란과 동양란(춘란) 대부분의 품종에 활용할 수 있다.

의심 증상이 보이는 잎(길이 1∼2cm)을 완충액과 으깨어 즙을 낸 다음, 진단 도구에 3∼4방울 떨어뜨린다. 즙액이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며 2분 뒤 나타나는 반응으로 결과를 판독한다. 두 줄이 나타나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다.

 

농촌진흥청은 난 바이러스 진단 도구 325점을 전국 도 농업기술원과 특·광역시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보급한다.

농가에서는 10월 이후부터 지역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바이러스 진단을 받으면 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최병렬 원예특작환경과장은 “채소 바이러스 진단 도구를 보급한 적은 있지만 화훼 진단 도구 보급은 이번이 처음이다.”라며, “채소와 마찬가지로 난 또한 바이러스를 조기 진단해 감염주를 제거하면 바이러스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