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대책없는 ‘원유생산 감축’ 낙농가들 당혹

낙농육우협회, 농식품부 잉여유 처리대책 마련 촉구
코로나19 휴교령, ‘학교우유 공급중단’ 낙농가 피해

9월 11일 낙농진흥회가 낙농가 안내문 배포를 통해 내년 1월 1일부터 원유생산 감축대책(마이너스쿼터 시행, 쿼터초과가격 인하)을 추진한다고 낙농가에 통보한 가운데, 한국낙농육우협회(회장 이승호)는 9월 17일 농식품부와 낙농진흥회에 공문발송을 통해 잉여유 처리대책 마련을 재차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낙농육우협회는 농식품부 발송공문에서 현재의 원유수급상황은 코로나19에 따른 휴교조치로 인해 백색시유 소비의 6.9%를 차지하는 학교우유 공급중단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촉발되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낙농업계에서 수차례에 걸친 코로나19 관련 대책방안 마련 건의에 대해 농식품부가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며 진한 아쉬움을 표명했다.

 

또한 한국낙농육우협회는 2011년 구제역 파동 당시 공공재 성격인 학교우유 우선 공급조치, 무관세 유제품 할당관세 물량배정 대폭확대 등 농식품부가 우유부족 사태에 대해 선제적인 조치를 단행한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낙농육우협회는 낙농진흥회 발송공문에서 아무런 정부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낙농진흥회가 선도적으로 원유생산감축에 나서게 된다면 전국 낙농가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중대사안이라며 농식품부와 적극 협의하여 원유수급 안정을 위한 정부대책 마련에 총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이승호 회장은 “정부가 코로나19에 대해 무대책으로 일관하면서 정부와 낙농진흥회가 나서서 원유생산 감축을 추진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하면서, “향후 정부의 행태에 따라 대국회 활동 등을 포함하여 전략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