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고사리’ 말라 죽는 병 원인 규명!친환경 방제제 개발

길항 미생물 이용하여 안전한 농산물 생산 및 농가소득 기여

최근 성인병 예방 뿐 아니라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웰빙 열풍이 불면서 산채를 주재료로 하는 한식 위주의 식단이 주목받고 있다. 이 중 고사리는 무기물이 풍부하고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 및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건강식품으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2014년부터 남해군 창선면의 고사리 재배 농가에서 잎과 줄기가 붉게 말라 죽는 증상이 대대적으로 발생되어 2017년 생산량이 2014년 대비 약 50%가 감소하는 등 생산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으나 새로운 병해에 대해 원인과 방제법이 전혀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농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18년부터 2년간 ‘고사리 신규 마름병의 병원균 규명 및 친환경 방제제 개발’을 지원한 결과, 고사리 신규 병해 원인을 규명하고 친환경 생물학적 방제제를 개발하였다.

 

연구를 주관한 ㈜제일그린산업 연구팀은 “우리나라 고사리 주 생산지였던 경상남도 남해군에 새로운 병해 발생으로 재배 농가에 큰 피해를 준 고사리 신규 마름병의 병원균을 규명하고 길항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제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고사리 신규 마름병의 병원균을 규명하기 위해 분리·동정하여 분석한 결과 ‘Didymella sp’임을 밝혀내었고 뿌리 주변 토양 및 식물 조직으로부터 길항 미생물 650여개의 균주 중에서 해당 병원균에 가장 효과가 좋은 길항미생물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병원균인 Didymella sp.에 억제 효과가 가장 좋은 균주 1종을 선발하고 동정·분리한 결과 찾아낸 미생물을 ‘Bacillus subtilis JG46’이라고 명명하고 이를 배양하여 미생물 방제제를 개발하였다.

 

연구팀은 해당 균주를 이용하여 고사리 신규 마름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검증한 결과 2,000배 희석액을 생육기 중에 5~10일 간격으로 처리할 경우 6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독성 시험 결과, 인축 및 환경에 무해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팀은 “고사리 신규 마름병의 원인균과 방제제에 사용된 길항 미생물을 생명정보로 등록하였으며, 개발된 방제제는 유기농업자재로 공시 등록을 완료하였다”고 말했다.

 

농기평 오병석 원장은 “금번 개발된 방제제는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제로 환경에 무해하며, 방제효과가 높은 장점이있다. 향후 고사리 뿐 아니라 다른 작물에도 친환경 방제제를 적용한다면 농산물 안전성 확보 및 농가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오현승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aT, ‘맛ㆍ향ㆍ색의 완벽조합’ 신품종 K-포도에 탄성 쏟아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17일 미국 뉴욕 맨해튼 소재 버진호텔에서 ‘프리미엄 신품종 K-포도 런칭쇼’를 개최하고, 한국산 고품질 신선포도의 북미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지역에 한국산 신품종 포도의 수출확대와 시장다변화를 위해 마련된 자리로, 미국 내 주요 수입바이어, 대형 유통업계와 식품업계 관계자, 인플루언서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장에서는 주 수출품목인 샤인머스캣을 비롯해 최근 개발된 글로리스타, 코코볼, 홍주씨들리스, 슈팅스타 등 한국의 프리미엄 신품종 포도가 미국 시장에 첫선을 보였다. 참석자들은 다양한 색과 맛은 물론 깊은 풍미를 지닌 K-포도와 이를 활용한 고급 에피타이저 2종과 디저트 3종이 등장하자 탄성을 자아내며 연신 호평을 쏟아냈다. 이날 행사에 초대된 수입바이어 ESU 팜의 다니엘 리 이사는 “미국 소비자들은 씨가 없고, 아삭한 식감의 껍질째 먹는 스낵형 포도를 선호한다”라며 “오늘 소개된 신품종 포도는 맛과 향, 식감 등이 매우 우수해 현지에서 충분히 통할만한 시장성과 경쟁력을 갖췄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현재 미국 내 생식용 포도시장에는 캘리포니아산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