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호주 수출요건 완화로 ‘딸기’ 수출시장 확대 기대

고품질 한국산 딸기, 호주 수출 쉬워져
소독처리(MB훈증)와 딸기모무늬병 실험실검사 면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와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소독처리를 면제하는 조건으로 한국산 딸기의 호주 수출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현재 한국산 고품질 딸기의 경우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와 미국, 캐나다 등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호주 수출요건이 완화됨으로써 딸기 수출시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검역본부는 2017년 한국산 딸기의 호주 수출을 위해 검역요건을 고시하였으며, 주요 검역요건은 호주에서 매우 우려하는 검역해충인 벗초파리 관리를 위한 의무 훈증소독과 딸기모무늬병 관리를 위한 실험실 검사 실시였다.

그동안 딸기는 주생산지 인근에서 훈증소독이 어려워 인천공항으로 이동하여 소독처리를 해야 하는 등 수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벗초파리는 우리나라 야산에 흔하게 분포하고, 과일에 알을 낳는 초파리 종류로 미국·유럽 등지에서 유입되어 많은 피해를 주고 있어 호주 등 벗초파리 무 발생국들은 강력한 검역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에 검역본부는 호주 수출 딸기의 검역요건 완화를 위해 벗초파리 생리·생태 연구를 수행하여 겨울에 재배되는 딸기 온실에는 12월부터 2월까지 벗초파리가 없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농식품부와 검역본부는 연구사업 결과의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호주 검역당국, 식물검역 전문가 회의, 주한 호주대사 면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협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양국은 매년 12월부터 이듬해 3월말까지 온실 트랩조사를 통해 벗초파리 무발생을 증명하고, 딸기모무늬병을 관리를 위한 실험실 의무검사를 재배 중 육안검사(2회) 만으로도 호주로 수출이 가능하도록 협상을 완료하였다.

 

검역본부 김정빈 수출지원과장은 “우리나라 딸기는 농식품부에서 지정·육성하는 경쟁력을 갖춘 수출 스타 품목이므로 호주에서도 고품질 한국산 딸기 시장이 확장될 수 있도록 수출 농가와 수출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검역본부는 앞으로도 신규 수출시장 확보 및 고품질 국산 농산물 수출 확대를 위해 검역 협상과 수출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