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너도나도 '봄무 농사' 뛰어들었다

시설봄배추‧무 재배면적 실측 결과, 시설봄배추는 전년보다 12%, 시설봄무는 39% 증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 농업관측본부에서 실시한 시설봄배추·무 재배면적 실측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시설봄배추‧무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시설봄배추 재배면적은 2019년산 겨울배추 출하량 감소에 따른 출하기 가격 상승 기대로 전년보다 12% 증가한 490ha, 시설봄무 재배면적은 면적이 크게 감소했던 전년보다 39% 증가하였으나, 평년보다는 7%(141ha) 감소하였다.

 

전화조사를 활용한 농업관측본부의 기존 재배면적 추정치(3월 전화조사치)와 비교하면 시설봄배추 재배면적은 2ha 증가하고, 시설봄무 재배면적은 4ha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어 전화조사와 실측조사 간의 차이는 시설봄배추 0.5%p, 시설봄무 2.3%p 이다.

 

도별로는 충청(예산군 등)지역의 시설봄배추 재배면적이 전년보다 20% 증가하여 주산지 중심의 면적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는 전년보다 8% 증가했고, 호남은 쌈배추, 시설봄무 등으로 작목이 전환되어 전년보다 7%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설봄무는 주산지인 호남(나주시, 고창군 등)지역의 재배면적이 전년보다 38% 증가했고, 영남 등 비주산지의 면적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봄무는 전년도 출하기 가격이 낮았던 고구마, 수박 등에서 작목이 전환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번 재배면적 실측 조사는 3월 중순∼4월 상순 시설봄배추 표본농가 35호, 시설봄무 41호를 대상으로 한 결과이다. 4월 중순∼5월 상순에는 노지봄배추․무 표본농가(배추 117호, 무 80호)를 대상으로 재배면적 실측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재배면적 실측 결과는 관측월보를 통해 지역농협, 농업기술센터 등 주요 농업관련 전문기관에 배포하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롯데그룹, 농어촌 재난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감 커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2015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당시 농어촌·농어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민간기업과 농어업인·농어촌 주민 간의 상생협력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치한 기금으로, 2017년부터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로 조성되고 있다.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의 우수 출연기업의 대표적 사례로 롯데그룹을 들 수 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13개 계열사가 꾸준히 기금 출연에 참여하고 있으며,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 상위기업으로 농어촌 지역 재난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롯데그룹은 2018년부터 기금출연을 시작으로 제주 농가 비료 지원, 지역쌀 소비촉진, 해양 안전사고 예방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였고, 2022년부터 농어촌 지역의 이재민과 재난위기가정을 위한 구호물품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강원 지역 산불피해 이재민 733가구, 집중호우 및 태풍(힌남노)피해 이재민 896가구, 재난위기가정 1,825가구 등 약 3,500여 가구에 2억 원 상당의 구호물품을 전달했다. 특히,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농촌지역의 재난위기가정에는 약 10억 원 규모의 농촌사랑상품권을 지원해 피해 주민의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했다. 이러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기관’ 8개소 선정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 운영기관으로 8개 기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청년귀농 장기교육은 영농 경험이 부족한 청년층(만 40세 미만)의 안정적인 농업․농촌 정착과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실습 중심의 장기체류형 교육과정이다. 신규 운영기관은 한 달여간의 공모 접수, 서류 및 발표 심사 후 8개 기관이 최종 선정됐다. 금년 장기교육 운영기관은 조기 선정되었으며 기존 5개 기관을 포함해 총 13기관에서 내년 1월부터 교육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는 예비 청년귀농인에게 농업창업에 필요한 현장경험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해 청년 귀농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청년귀농 장기교육 운영기관의 안정적인 교육 운영·지원을 위해 교육 운영지정 기간이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 확대된다. 이는 금번 선정된 ’26년 신규 교육기관부터 적용된다. 교육운영 성과평가 우수기관(최근 2년간 성과평가 평균 A등급 이상)은 지정기간이 자동연장되며, 교육운영기관 내부 전문가의 교육강사 비율을 기존 50%에서 80%로 확대해 기관의 교육전문성 활용을 제고한다. 교육과정 구성도 개선하였다. 기존에는 귀농귀촌 필수 공통과목(귀농귀촌의 이해 및 지원정책,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