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아시아 지역 지속가능한 농업' ADBI와 포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 '아시아 지역의 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농업' 주제로 포럼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10월 30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아시아 지역의 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ADBI-KREI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ADBI, 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와의 공동포럼에서는 아시아 7개국의 농업 현황 및 정책, 발전경험 등 정보 공유를 통해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식량안보, 농업·농촌 지속가능한 발전을 논의했다. 베트남, 필리핀, 몽골,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7개국을 포함해, 미국 농무부 경제연구소, 중국 후난기술경영대학교, 태국 아시아공과대학,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와 토론에 참여했다.

 

첫 세션인 ‘식량가용성’ 시간에는 식량생산과 기후변화 대응전략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사례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KREI 임영아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농업분야 온실가스 저감정책’을 주제로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서 농업부문 감축수단별 보급 목표를 분석하였고, 한국의 주요 정책사업으로 농업·농촌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사업, 배출권 거래제 외부사업,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를 소개했다.

 

‘식품접근성의 물리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측면’ 세션에서는 소외 계층의 물리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식량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속가능한 농가소득 증대와 농촌 공동체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논의되었다. KREI 유찬희 연구위원은 ‘한국의 농가경제 실태 분석 및 제언’을 주제로 2013~2017년 자료를 이용해 한국의 농가경제 이행경로를 분석하였고, 영농 활동을 기반으로 소득 창출 활동 기회를 마련해 소규모 농가의 재정 접근성을 높일 것을 제안했다.

 

이날 김철주 ADBI 부소장은 “아시아의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 지원하기 위해 정부, 학계, 이해당사자들 간의 파트너십을 통한 해결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홍상 KREI 원장은 “아시아지역 국가들은 식량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농업 생산량 증대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며 괄목할만한 성장이 있었지만, 안정적이고 차별 없는 식량 접근성 강화, 농산물 가치사슬의 고부가가치화, 기후변화 및 인구 증가에 대비한 식량안보 시스템 강화 등은 아시아 지역과 함께 전 세계가 함께 직면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오현승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