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aT, 폴란드·스웨덴 우리 ‘농식품 로드쇼’

유통공사 “다양한 한국 농식품, 동·북유럽 신시장 겨냥”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우리 농식품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4월 23일부터 28일까지 폴란드와 스웨덴에서 농식품 세일즈 로드쇼를 개최했다.

aT는 올해 상반기 농식품 수출시장 다변화를 목표로 8개 전략국가를 선정하여 한국 농식품 수출업체 41개사를 유럽, 아시아 등으로 파견하여 우리 농식품 수출시장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폴란드-스웨덴 농식품 세일즈로드쇼에서는 시장다변화 프런티어 11개사가 참가하여 김치, 유자차, 오미자청 등과 같은 대표적인 한국식품 뿐만 아니라 현지 소비트렌드를 반영한 가정간편식품(HMR)에 이르는 다양한 한국식품을 현지 바이어에게 선보였다.

 

폴란드는 유럽 중앙에 위치하여 중동부 유럽 및 북유럽까지 시장 접근이 용이한 지리적 이점과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건강, 웰빙 트렌드 확산 등 식품시장 성장률이 높아 작년에 이어 유럽권역의 최우선 전략국가로 선정이 되었다. 이번 세일즈 로드쇼를 통하여 폴란드 전역에 유통채널을 가진 수입상, 식품제조사 등 15개사가 초청되어 70여 건의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총 235만 달러 상당의 상담 실적이 있었고 향후 수출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폴란드 세일즈 로드쇼에 참여한 수입바이어인 쿠흐니 스비아타(Kuchnie Swiata)의 다리우즈 리터(Dariusz Richter)氏는“에스닉 음식에 대한 폴란드인들의 관심이 일식과 동남아식에서 이제 한식으로 옮겨지고 있다”며 폴란드 시장에서 한국식품의 유망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스웨덴은 2018년 기준 1인당 GDP가 약 54천 달러로 소비자 구매력이 높으나 춥고 척박한 지리적 특성으로 요리문화가 발달하지 못했다. 수입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최근 아시아식품에 대한 인기가 증가하고 있어 한국 농식품의 북유럽 시장 진출 문을 열어 줄 시장으로 평가된다. 현지 수입상 등 7개사가 초청되어 39여건의 상담을 통해 총 345만 달러 상당의 수출상담 실적이 있었고 향후 수출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스웨덴 세일즈 로드쇼에 참여한 수입바이어는 “아직은 한국식품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시장 진출에는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겠지만” 올해 참가 제품들에 대하여“새롭고 건강하고 기능성까지 겸비하여 스웨덴 소비자의 관심을 모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하며 한국식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aT 신현곤 식품수출이사는“비록 우리 농식품 수출의 對 유럽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지만 현지인들에게 우리 농식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신규거래를 알선하기 위하여 현지에서 발로 뛰는 농식품 청년개척단과 이번 세일즈로드쇼에 참여한 시장다변화 프런티어의 협업이 신규시장 개척이라는 좋은 성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