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2026년 예산안을 전년 대비 6.9%(1조 2,934억원) 증가한 20조 350억원 규모로 편성하였다. 이번 예산안에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을 뒷받침하고 농업을 식량안보를 지키는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등 새정부 핵심과제를 실천하여 조기에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예산을 충실히 편성하였다. 특히, 기후위기 대응 및 재해에 대해 국가 책임 강화, 선제적 수급관리, 취약계층 먹거리 안정, 청년농 육성 등 농업 세대전환, 지역 균형성장, AX 기반 확충 등에 집중 투자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식량안보 및 유통구조 혁신, 국민 먹거리 돌봄 강화 쌀 수급 안정,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전략작물직불을 대폭 확대(2,440억원→4,196)한다. 지원면적 확대(176천ha→205), 지원단가 인상(하계조사료·옥수수·깨 +50만원/ha)과 함께, 신규 품목도 추가(수급조절용 벼 등 5개 품목)한다. 소비 기반 확대를 위해 쌀 자조금(29억원)을 신규 도입하고, 밀·콩 등 전략작물 생산 확대에 맞춰 소비 활성화 지원을 강화(전략작물산업화, 533억원→564)하고 콩 비축도 확대(3만톤→6, 1,532억원→3,150)한다. 온
소나무 그루터기에서도 소나무재선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어, 당국의 재선충 방제작업을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소나무 간벌작업을 끝낸 뒤에 덩그렇게 남아있는 잘라낸 소나무 밑둥 그루터기에서 재선충 벌래 유충들이 왕성하게 서식하는 현장이 포착되돼, 그동안 방역당국의 소나무재선충방제작업 헛점에 의심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그동안 소나무재선충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특별법까지 만들어 산림해충 방제약을 퍼붓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게 소나무재선충 질병이 수그러들지 않아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 방역당국의 대처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