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돈, 추석특수 앞두고 대규모 소비촉진 펼쳐

- 전국 유통사·정육점 총출동... 소비자 혜택 대폭 확대!
- 한돈자조금, 추석과 한돈데이 앞두고 전국 10개 유통사와 소비 촉진 행사 마련
- 삼겹살, 목살, 앞다리살 할인 판매... 서울지역 정육점도 할인 행사 동참

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덜기 위한 대규모 한돈 할인 행사가 펼쳐진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손세희)는 국산 돼지고기 한돈의 소비를 촉진하고 명절 물가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한계 없는 능력, SUPER 한돈 페스타’를 전국 대형마트, 중소 유통매장 및 온라인몰에서 진행한다.

 

이번 소비 촉진 행사에는 이마트, 이마트에브리데이, 홈플러스, 롯데마트, 서원유통, 메가마트, 지에스, 국민마트, 푸디스트, 킴스클럽 등 총 10곳의 전국 주요 유통사가 함께한다.

 

각 유통사별로 삼겹살, 목살 등 신선육과 한돈 선물세트를 특별 할인가에 선보이며, 매장별로 차이가 있지만 삼겹살과 목살, 앞다리살 판매가격은 정상가 기준 10~20% 할인가로 판매될 예정이다.

 

또한, 축산기업중앙회 소속 서울지역 정육점 약 35곳도 행사에 동참한다.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되며, 삼겹살 기준 정상가 100g당 3,200원에서 10~20% 내외로 할인 판매해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넓힌다.

 

한돈자조금 온라인 공식몰인 ‘한돈몰’에서도 특별 기획전을 진행한다. 행사 기간은 9월 8일부터 9월 30일까지로, 추석 선물세트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는 5천 원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대량 구매 시 할인 혜택과 한정 기간 진행되는 반짝 특가 기획전도 마련돼 있다. 이번 온라인 행사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기 어려운 소비자들이 집에서도 합리적인 가격에 한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기획됐으며, 다양한 소비자층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다가오는 10월 1일 한돈데이를 맞아 10월 소비 촉진 행사도 별도로 준비하고 있다. 9월과 동일하게 삼겹살, 목살을 중점 할인 판매하며 마찬가지로 전국 유통채널과 협업한다. 더불어, 한돈데이를 기념한 대규모 팝업스토어를 도심에 개최하는 등 더욱 많은 소비자에게 한돈의 뛰어난 맛과 가치를 확산하고, 한돈 농가의 성장을 돕는 지속 가능한 소비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한돈자조금 손세희 위원장은 “추석과 한돈데이를 맞아 소비자들이 한돈을 합리적인 가격에 즐기실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한돈의 우수성과 건강한 가치를 알리며 소비자와 농가가 함께 웃을 기회를 계속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돈자조금은 매년 추석을 대비한 다양한 할인 행사를 통해 소비자 혜택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번 ‘한계 없는 능력, SUPER 한돈 페스타’ 역시 가계 부담 경감과 함께 국산 돼지고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한돈 농가의 안정적 판로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농어촌지역군수협의회 총회... ‘모두의 행복농촌 프로젝트’ 발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9월 22일(월) 충북 영동군에서 개최된 ‘제15차 전국농어촌지역군수협의회 총회’에 참석하여 균형성장과 함께 농업·농촌의 발전을 위한 군수협의회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정부와 군수협의회간 농업·농촌 비전과 정책을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 자리에서 송 장관은 농촌의 대전환을 위한 ‘모두의 행복농촌 프로젝트’를 제안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농촌으로의 인구유입을 위한 소득기반을 마련하고일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정주여건을 조성하며삶터 나아가 농촌을 매력적인 공간으로 변화시켜 활력을 극대화 시켜쉼터 농촌을 대전환한다는 것이다. ‘국민주권정부’에서 수도권 일극체제에 대응한 5극3특 균형성장이 강조되는 가운데, 농촌이 ‘농업 공간’에서 나아가 균형성장을 이끄는 ‘일터·삶터·쉼터’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전략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우선, ‘일터 만들기’ 전략으로 농촌형 지역순환경제 모델 및 창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농어촌기본소득과 주민주도형 햇빛소득마을을 통해 안정적인 소득기반을 갖추고, 청년농업인재 육성과 함께 경관, 농업유산 등 농촌의 유·무형 자원을 활용한 농촌형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한다. 두 번째, ‘삶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귀농귀촌 교육’ 수강생이 직접 평가하는 강사 평가 시스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은 귀농귀촌 교육의 신뢰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생이 직접 강사를 평가하는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제도는 교육생의 목소리를 교육 운영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현재 귀농귀촌 교육에는 약 13백여 명의 강사가 등록되어 있고, 이 중 실제 활동하는 강사는 9백여 명에 달한다. 하지만 기존 만족도 조사는 강의 전반에 대한 평가 위주로 진행되어 강사의 강의력, 태도, 전문성 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농정원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 종료 직후, 모든 교육생이 모바일이나 PC를 통해 즉시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평가 문항은 강의 내용, 강의 수준, 강의 태도 등을 5점 척도로 평가하게 된다. 평가 과정은 익명으로 진행되며, 일정 인원 이상의 응답이 모여야 결과가 통합플랫폼에 즉시 공개된다. 또한 동일인이 중복해서 평가하는 것을 막아 데이터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였다. 농정원의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연말 우수강사 선정에 활용하여 교육 강사의 자기 계발 동기부여 및 강사 간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는 한편, ‘그린대로’를 통해 강사의 만족도 점수를 공개하여 교육 운영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