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진원, 동물사료 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 지원

– ‘2025년 국가지정형 폴란드 테스트베드 지원사업’ 참가기업 모집
– 유럽연합 기준 충족을 위한 현지 실증 및 인증 지원 통해 수출 장벽 낮춰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7월 31일, 유럽연합(EU)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인 국내 동물사료 및 사료첨가제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 국가지정형 폴란드 테스트베드 지원사업’의 참가기업 모집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유럽 내 농업 강국인 폴란드를 실증 거점으로 활용해, 국내 제품이 유럽식품안전청(EFSA)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실증 시험과 인증 절차를 지원함으로써, 유럽 시장 진입장벽을 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폴란드는 식량작물, 낙농업, 과채류 등 다양한 농업 분야에서 유럽연합 내 상위 5위 안에 드는 생산국으로, 동물사료 및 사료첨가제 수요도 매우 높은 국가다. 실증기관은 유럽식품안전청이 지정한 안전성 시험기관인 바르미아마주리 주립대학교로, 이를 통해 유럽 시장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신뢰도 높은 실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사업 일정은 2025년 유럽식품안전청에 승인 신청을 시작으로, 2026년 상반기에 제품 효과 검증, 하반기에 기술 세미나 개최 순으로 구성된다. 참가 신청은 7월 31일(목)부터 8월 13일(수) 16시까지이며, 세부 내용은 농진원 누리집의 ‘사업공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호근 원장은 “올해는 유럽연합 내 낙농업 수요가 높은 폴란드 시장에 특화된 동물사료 및 사료첨가제 분야를 우선 지원하고, 향후 농기자재 전 분야로 실증 품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한국 농산업의 기술과 품질이 유럽 전역에 인정받을 수 있도록 수출지원 체계를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질병검사 한 번으로 복숭아 병 5개 찾아
국립종자원(원장 양주필)은 지난 5년간(’20~’24) 수행한 ‘과수 무병묘 효율향상 기술 개발 및 대량생산 체계 구축’ 연구를 통해 한 번의 진단으로 5종의 복숭아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유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복숭아 나무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생육 불량과 기형과 발생으로 과실의 품질이 저하되어 극심한 피해를 유발한다. 이를 극복하려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건전한 무병묘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감염여부를 신속하게 진단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번에 국립종자원이 개발한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기반의 진단기술은 단 한 번의 검사로 복숭아 주요 병원체 5개를 동시에 진단함으로써 시간과 비용 및 노력을 1/5로 줄여 검사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 본 기술을 활용하면 복숭아 무병묘 생산부터 과수원의 수확 현장까지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고 제거함으로써 바이러스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국립종자원은 이번에 획득한 특허기술을 관련기관과 민간에 이전하여 농업현장에서 널리 활용되도록 적극행정에 앞장설 계획이다. 국립종자원 양주필 원장은 “이상기후로 인한 재배환경의 급격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