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인위적 요인에 의한 산불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사람의 행동 패턴을 반영한 새로운 산불위험지수 개발에 착수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국내 산불 발생의 99%(2015~2024년 기준)가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은 입산자의 화기 사용, 영농부산물·쓰레기 소각, 담배꽁초 투기, 화목보일러 재처리 부주의, 성묘 활동, 용접 작업 등이다.
또한 화목보일러 연통의 불티, 건축물 화재, 송전선로 화재 등 시설물로 인한 산불도 다수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 봄 경북 북부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을 포함해, 중대형 산불의 대부분이 인위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AI를 활용하여 인위적 요인들의 양상을 분석하고, 영농부산물 소각의 시기별·지역별 분포, 계절에 따른 입산자 증감, 화목보일러 사용 가구 분포, 묘소 위치 등 다양한 인간 활동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산불 위험지수 산출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을 구축해 산불 예방과 피해 최소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원명수 과장은 “기존 산불위험예보 시스템에서 활용하는 기상, 연료, 지형 등 환경인자뿐만 아니라, 산불 발생의 직접적 원인인 인간 활동까지 반영해 예측 정확도를 더욱 높임으로써, 대형산불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