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돈자조금, '삼겹살데이' 앞두고 한돈 할인행사

- 슈퍼푸드 한돈! 오늘은 한돈 삼겹살 먹는 날!
- 한돈 최대 반값 할인 혜택으로 식탁 물가 부담 덜고, 한돈 농가에 보탬!
- 서울과 청주 현장 특판행사는 원플러스원(1+1) 혜택, 한돈인증점 추가서비스 등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는 다가오는 3월 3일 삼겹살데이를 맞아 ‘대한민국 원PIG 한돈, 오늘은 한돈 삼겹살 먹는 날!’을 주제로 우리돼지 한돈 소비촉진을 진행한다.


올해로 22주년을 맞는 삼겹살데이는 고물가 속 장바구니 부담을 낮추고 더불어 한돈 소비촉진으로 설 명절 이후 돈가 하락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돈 농가 안정화에 보탬이 되고자 마련됐다.


우선, 한돈 공식 온라인 쇼핑몰 한돈몰에서 2월 25일부터 3월 14일까지 한돈 삼겹살, 목살, 앞다릿살 부위를 50% 할인 판매한다. 네이버, 지마켓, 마켓컬리, SSG 등 대형 이커머스사 20여 곳에서도 20~50% 할인된 합리적인 가격의 한돈을 만날 수 있다.


서울과 청주에서는 한돈을 직접보고 구매할 수 있는 현장 특판 행사가 열린다. 먼저 서울은 프레스센터 앞에서 2월 28일 오전 11시부터 강원양돈농협, 서울경기 양돈농협, 제주양돈농협, 쌤미트코리아가 참여해, 삼겹살 1+1꾸러미(1kg+1kg)를 2만 4천 원에 판매한다. 서울 현장에서 판매되는 한돈 규모는 약 8톤 물량으로 신선하고 질 좋은 한돈을 평소보다 훨씬 실속있게 구매할 좋은 기회이다. 청주 삼겹살거리에서도 3월 2일, 3일 양일간 현장 특판행사가 진행되며, 판매 금액은 서울 현장 행사와 동일하다.

 


한편, 전국 한돈 인증점에서도 삼겹살데이 행사의 혜택을 이어간다. 2월 28일부터 3월 14일까지 전국 한돈인증점에서 한돈 주메뉴 3인분 주문 시 1인분 추가서비스가 제공된다. 외식이나 모임을 고려 중이라면 삼겹살데이 행사 기간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전국 한돈 인증 식육점에서도 삼겹살, 목살 등 100g당 500원의 할인 혜택이 있어, 봄철 가족 건강을 위한 영양 만점 한돈 구매를 추천한다. 더불어 전국 중소마트, 유통사, 편의점 등 약 900여 개 매장에서도 한돈 삼겹살, 목살 등 전 부위 20% 이상 할인에 들어간다.


한돈자조금 손세희 위원장은 “외식물가 부담이 커진 시기이지만 평소보다 합리적인 가격의 한돈 구매로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소중한 시간을 즐기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라며 “신선하고 맛좋은 우리돼지 한돈으로 건강도 챙기고 어려운 한돈농가도 살리는 뜻깊은 2025년 삼겹살데이가 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소비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한돈자조금은 소비 경기 급감에 따른 한돈 소비촉진 및 활성화를 위해 매년 삼겹살데이를 맞아 소비자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행사를 열고 있다. 2023년은 삼겹살데이 20주년 기념으로 대대적인 온‧오프라인 행사를 펼치며 2주간 한돈 약 1,000톤 이상을 판매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지난 2024년에도 한돈몰을 비롯한 현장 행사, 온‧오프라인 판매처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의 한돈을 소비자에게 선보이며 큰 호응을 얻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