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참외수출농업기술지원단 ‘농사 현장 컨설팅’ 큰 호응

-‘알찬꿀’ 참외 품종과 ‘강찬꿀’ 품종 등 참외 수출 활성화...농가소득 향상 모색으로 기대감 키워

 

참외수출농업기술지원단(단장 한증술, 경북대 교수)은 최근 성주군 성주읍 용산리 835-1 이상학(18동), 박재용(20동) 농가 및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411 이정호(16동) 농가에서 기술전문위원과 농업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알찬꿀 참외품종과 강찬꿀 품종에 대한 컨설팅을 각각 실시해 참석 농업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날 이상학, 박재용 농가에서의 주요 컨설팅 내용은 미니 관수기 셀프 제작 후 사용 중: 20대 제작 후 판매 계획, 발효과(물찬과)가 많은 것이 문제, 일조량이 떨어져 꽃이 달렸다가 금방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서 노균병 생길 가능성이 크다. 올해는 숙기가 늦어져 정식 후 55일 후에 수확(기존 50일 후 수확), 매주 금요일 담배가루이 동시 방제하고 4월부터 시작, 5월부터 본격적으로 방제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농약 사용에 대해서 팬텀은 저렴하지만 벌 독성이 있고 잔류가 오래 남아 있어서 6월 벌통 뺀 뒤 수확 후 쉬는 시기에 칠 것. 수확 7일 전 관주가 필요하다. 작황은 7~8다이 참외가 많이 나온다. 4월 현재 1억 넘은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 수입은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제초제 살포보다 하우스 사이나 주변 가장자리에 잡초제거에 신경쓸 것과 진딧물 제거를 위해 농약도 한 달에 1번 수확 3일전까지 칠 것 등의 문제점을 컨설팅했다.

 

또, 이정호 농가에서는 77년 노지참외부터 시작해서 47년간 참외농사 중(92년 1동에 100만원하면 만작으로 농가주는 200만원 매출(금싸라기 품종), 정식은 12월 초순, 45일만에 참외 달아서 수확(1월 15일경, 올해는 육묘 기간에 고운으로 날씨가 좋아 모종이 웃자람, 10월 정식한 사람들 작황이 상대적으로 좋았음), 올해 작황은 예년과 비슷하나 과가 작아서 수확노동력이 늘었다. 8~9다이까지 수확 중으로 판매 물량이 15~20% 가량 감소했지만 매출은 비슷하다.

 

4월 현재 광합성 부족으로 과비대를 못해 아직 7~8다이 참외가 많다. 맛이나 경도는 좋다. 작년에는 과가 컸다. 3다이 참외가 많았다. 올해 기상이변으로 꽃가루가 없어서 벌 활동도 둔화되었다. 친환경 농법으로 농약을 안 치고 재배 중이다. 특히 노균병 약은 안 치고, 흰가루병 약만 살포 중이며 보온덮개 2겹으로 가온하며 외국인 노동자 간헐적으로 쓰시고 혼자 농사 중으로 참외 후작으로 베타카로틴 참외도 재배한다.

 

담배가루이 방제에 있어서는 늦어도 4월말부터는 시작해야, 하우스 외부, 가장자리까지 방제할 것과 한달에 한번, 1~2화방 수확 마무리할 때 잎 뒷면까지 흠뻑 젖을 수 있도록 많이 뿌려줄 것과 7월에 작황이 안 좋을 경우에는 농사 접고 땅관리하는 게 더 나음 등으로 상담과 현장 컨설팅을 했다.

 

이번 컨설팅은‘2024 참외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참외수출농업기술지원단운영’을 과제명으로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참외 농가 현장컨설팅과 참외산업의 경쟁력 강화로 수출 활성화 및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하는 등 기대감이 크다.▶다음에 계속 <경북= 이성구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