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한우 소프라이즈...소고기 소비촉진!

- 민경천 한우협회장 "생산비는 증가했는데 가격 떨어져 힘들지만 소비촉진으로 기대"
- 송미령 장관 "사료가격 인하에 농협도 적극 노력해 달라" 요청


3월 5일(화) 농업인단체장 간담회에서 민경천 회장은 송미령 장관에게 정부의 한우 소비 목표 설정 및 사료가격 인하 관리를 요청하였다.

민경천 회장은 이어, 3월 6일(화)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청사를 방문해 재차 사료가격  인하 등 관리를 주문하고 한우산업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정부대책을 요청했다.

 


7일열린 한우 소프라이즈 행사에서 송미령 장관은 농협 안병우 축산경제대표에게 농협사료 가격 인하를 요청하면서 "농협이 적극적으로 노력해 달라"고 주문하였다.

송 장관은 민경천 회장에게 "지금껏 한우, 한돈농가들이 자구노력을 하면서 방어를 잘 해 오셨는데, 힘들지만 올해 잘 견딜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한편, 민경천 회장은 행사에서 "한우 생산비 중 사료가격 비중이 가장높은데 사료가격이 많이 올랐다. 생산비는 증가했는데 도매가격은 떨어져 한우농가가 힘든 상황속에서 한우농가 거출금인 자조금을 통해 이런 소비행사를 준비했으니 많은 소비를 바란다"고 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