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고려비엔피 ‘돈호방 써코2d 플러스 백신’ 화제

-국내 최고의 VLP 생산기술과 국제학술지 논문으로 입증된 효과...‘돈호방 써코2d 플러스 백신’
-‘돈호방 써코2d 플러스 백신’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주)고려비엔피 공동연구 개발

농림축산검역본부와 (주)고려비엔피가 다년간 공동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돈호방 써코2D플러스’ 백신이 특허등록 인증과 4건의 논문으로 발표되는 등 국내 백신 품질을 인정받아 화제다.

 

 

‘돈호방 써코2D플러스’ 백신은 기존 써코상용백신으로 방어가 되지 않는 ‘PCV 2d 변이주(QIA244 strain)’을 기반으로 국내 최고의 VLP(바이러스유사입자, Virus Like Particle)’ 생산기술로 특허등록이 완료되었다(등록번호 제 10-2168646호).

 

또한, 백신 개발 과정과 효능평가 등이 아래의 4편의 논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되어 개발기술, 효능 및 안전성 등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를 통해 ‘돈호방 써코2D플러스’ 백신은 국내 유래 써코2d바이러스 항원(QIA244 strain)을 함유, 기존 써코 상용백신으로 방어가 어려운 써코2d에 방어능을 확인하였고 다종의 써코 유전형(PCV2a/b/c/d)과 교차 방어를 확인하였으며, PRRS바이러스와 써코 혼합 감염 시, 효과적인 방어를 확인하였다.

 

현재 이 백신은 국가출하 승인을 받아 양돈농가에 공급되고 있으며, 국내 써코2d 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주)고려비엔피 관계자는 밝히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