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복숭아' 수출속도 빨라질 듯

- 실시간 소통 판매로 싱가포르 수출길 열려...주문형 수출방식 시범 도입
- 신선한 상태로 수출...현지서 주문한 복숭아 수확 후 곧바로 배송
- 실시간 소통 판매 활용, 신선 농산물 수출 확대 가능해져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수확한 지 3일 만에 싱가포르 현지 소비자에게 복숭아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수출방식을 시범 도입해 확대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싱가포르 현지 구매자(바이어)와 싱가포르 실시간 소통 판매(라이브 커머스) 방송팀, 국내 복숭아 생산 전문가(마이스터)를 연계하는 ‘선주문 후 수출’ 방식을 기획해 방송 시작 30분 만에 130상자를 완판했다.

싱가포르 소비자들은 현지 마트에서 구매할 수 있는 복숭아(수확 후 5∼7일)보다 최대 나흘이나 일찍 수확한 신선한 우리나라 복숭아를 맛볼 수 있게 된 셈이다. 우리나라 복숭아 품질에 만족한 현지 소비자들은 추후 60박스를 추가 주문하기도 했다.

이번에 수출한 복숭아는 상자당(1.8kg) 약 7만 5,000원으로 일본산(최대 약 17만 원)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고, 부드러운 식감과 높은 당도를 유지해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특히 방송 진행자가 실시간으로 복숭아를 직접 맛보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복숭아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져 완판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러한 실시간 소통 판매에 의한 수출방식은 미리 주문받은 우리 농산물을 정해진 기간에 수출함으로써 신선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심을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평가했다.

현지 구매자 입장에서도 선 주문 물량만큼만 수입해 재고 위험을 덜 수 있어 경제적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싱가포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부드럽고 당도가 높은 복숭아는 운송과 보관이 어렵다는 이유로 현지에서 유통하는 업체가 많지 않은데, 이러한 현지 실정을 파악해 우리나라 복숭아를 판매한 점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한편, 복숭아는 수확기가 짧고, 내수시장 홍수 출하가 빈번해 수출 필요성이 큰 품목이다. 현재 홍콩,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으로 연간 370만 달러(2022년 기준) 정도 수출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수출농업지원과 위태석 과장은 “현지 구매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홍보를 펼쳐 수출물량을 확보하고 비용을 낮추는 등 점차 수익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라며 “반복 구매 고객을 늘리기 위해 수출용 농산물의 품질을 철저하게 관리하고, 포장 상자를 개선하는 등 여러 문제를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aT, 삼성웰스토리와 손잡고 베트남에 K-푸드 전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삼성웰스토리(사장 정해린)와 함께,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7월 18일부터 30일까지 한국산 닭고기를 활용한 ‘K-급식 체험 홍보 행사’를 개최했다. 삼성웰스토리는 베트남, 중국, 헝가리 3개국에서 해외 단체급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급식 메뉴 개발 시 K-푸드를 적극 활용하는 운영 방식을 통해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또한 직영하는 마트 내 K-푸드 입점 품목을 꾸준히 늘려 K-푸드 수출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aT와 삼성웰스토리가 지난해 10월 국산 농식품 수출 다변화를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과 연계한 협력사업으로, 베트남 최대 수출 품목인 한국산 닭고기의 소비 저변과 수출 확대를 위해 기획됐다. 행사는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삼성 법인 내 9개 사업장에서 총 3차례 진행됐으며, 한국 영계를 활용한 삼계탕, 옛날통닭 등 1만 8000식의 특식이 제공됐다. 특히 한국의 초복과 중복 시기에 맞춰 행사를 진행하며 ‘이열치열’로 더위를 이겨내는 한국식 식문화를 소개해 현지 반응을 이끌었다. 현장에서는 삼계탕 부재료를 비롯해 향후 공장 내 미니마트에 입점 예정인 다양한 K-푸드를 전시·시식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