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동물복지 축산물 찾아가는 소비자 67%↑

- 한국축산데이터,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 진행...동물복지 축산물 구매 이유 ‘동물복지’·‘식품안전성’
- 소비자 60% “비싸도 동물복지 축산물 구매"...동물복지 인증 영향력 향후 확대 전망

소비자 상당수는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도 높은 것으로 조사돼 동물복지가 축산물 구입의 핵심 기준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한국축산데이터가 자사 프리미엄 원헬스 축산물 마켓 ‘굴리점퍼’ 이용자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67.6%가 '매우 선호한다' 또는 '선호한다’라고 답했다. ‘선호하지 않는다’ 또는 ‘전혀 선호하지 않는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3.9%에 불과했다.

굴리점퍼는 한국축산데이터의 가축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팜스플랜’으로 건강하게 기른 돼지고기 ‘팜스플랜미트’와 ‘아트리스아트’, 국내 유일 전통 산란계 토종닭으로 인증 받은 농장에서 자연 방목으로 생산한 ‘잘란’ 등 프리미엄 축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동물복지 축산물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34.2%가 ‘안전한 먹거리로 믿을 수 있어서’라고 응답했다. ‘동물복지를 위해서(30.1%)’, ‘건강을 위해서(13.7%)’라는 응답은 그 뒤를 이었다.

이같은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높은 선호도는 그대로 동물복지 인증 선호로 이어졌다. ‘축산물을 구매할 때 동물복지 인증 여부는 중요한 기준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3.5%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라고 답했다. 8.9%의 응답자만이 ‘그렇지 않다’ 혹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했다. 동물복지 인증 여부가 소비자의 축산물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미다.

향후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축산물 구매 시 동물복지 인증 여부가 점점 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81.2%가 ‘그렇다’ 혹은 ‘매우 그렇다’라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 혹은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그쳤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를 위해 기꺼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생각이 있는 소비자도 상당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60%가 '일반 축산물 대신 동물복지 축산물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쓰겠다'라고 답했다. ‘고려해보겠다’라고 답한 응답자도 30.6%에 달했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에 추가로 부담할 수 있는 비용에 대해서는 ‘10% 이하’라고 답한 응답자가 47.1%로 가장 많았다. 27.3%는 ‘5% 이하’라고 답했으며 19.4%는 ‘20% 이하’까지 추가로 가격을 부담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3.3%는 ‘비용은 상관없다’라고 답했다.

 


실제 소비자 대다수는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가 동물복지 강화에 기여한다고 생각했다. 동물복지 축산물 소비가 동물복지 강화에 기여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1.3%가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라고 답했다. 2.8%의 응답자만이 ‘그렇지 않다’ 또는 ‘전혀 그렇지 않다’라고 답했다.

송신애 한국축산데이터 미래전략연구소 소장은 “동물복지와 식품안정성 등의 가치를 고려해 동물복지 축산물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축산물의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실제 가축 사육 현장에서 동물복지가 제대로 실현되는지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