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김 등 '해초류' 바다속 단백질 먹거리

-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빈혈 예방 돕는 철분은 가시파래에 ‘듬뿍’
- 공주대 최미경 교수팀, 국내 다소비 해조류 11종 분석 결과

바다 채소(sea vegetable)라고도 통하는 해조류가 소고기 못지않은 고단백 식품인 것으로 밝혀졌다. 마른 김은 영양소의 거의 절반이 단백질이었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공주대 식품영양학과 최미경 교수팀이 2022년 2∼7월 국내에서 많이 소비되는 김ㆍ미역ㆍ다시마ㆍ청각ㆍ꼬시래기ㆍ톳ㆍ가시파래ㆍ매생이ㆍ한천ㆍ파래ㆍ곰피 등 해조류 11종의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일부 해조류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의 영양평가)는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해조류의 단백질 함량(말린 것 100g당)은 김(46g)ㆍ파래(40g)ㆍ매생이(36g) 순으로 높았다. 한천엔 단백질이 거의 없었다. 
 
말린 해조류의 100g당 영양소 구성은 탄수화물(58%)ㆍ단백질(22%)ㆍ미네랄(20%)ㆍ지방(1% 이내) 순이었다. 열량(말린 것 100g당)은 청각이 최저(91㎉), 톳(192㎉)이 최고였다. 

이번에 검사한 해조류의 평균 열량(말린 것 100g당)은 161㎉였다. 
최 교수팀은 논문에서 “해조류는 같은 무게의 쌀밥(420㎉)ㆍ배추김치(340㎉)보다 훨씬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유용한다”고 설명했다. 
뼈와 치아 건강을 좌우하는 칼슘이 가장 많은 든 것은 미역(969㎎, 마른 것 100g당)이고, 청각(800㎎)이 2위를 기록했다. 
마른미역의 칼슘 함량은 같은 양의 멸치 수준으로, 해조류 중 칼슘이 가장 적은 꼬시래기(97㎎)의 10배에 달했다.  

우리나라 국민은 칼슘 섭취량이 매우 낮고 골감소증 유병률이 높아 충분한 칼슘 섭취가 요구된다. 최 교수팀은 미역과 청각이 훌륭한 칼슘 공급 식품이 될 수 있다고 봤다. 
엽록소의 구성 성분이자 근육ㆍ신경 기능 유지를 돕는 마그네슘은 가시파래(747㎎)ㆍ청각(700㎎)에 많이 들어 있었다. 
 
최 교수팀은 논문에서 “가시파래엔 철분(빈혈 예방)ㆍ망간(피로 해소), 청각엔 셀레늄(항산화 성분)ㆍ구리(모발ㆍ눈 건강 증진), 파래엔 몰리브덴(피부 개선)이 풍부했다”며 “해조류를 1인 1회 분량(15㎉를 얻을 수 있는 양)만큼 섭취할 때 청각은 구리ㆍ셀레늄, 가시파래는 철을 권장치 이상 보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트륨 배설을 촉진해 혈압을 낮추는 칼륨은 톳에 풍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빈혈 예방을 돕는 철분이 많이 든 해조류는 가시파래였다. 가시파래의 철분 함량은 철분 공급 식품으로 통하는 돼지 간(81㎎)의 약 1.8배였다. 

최 교수팀은 논문에서 “가시파래의 철분은 식물성 식품의 비헴철이므로 체내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며 “동물성 식품과 함께 섭취하면 더 우수한 철 공급식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 “국내 최고의 젖소 찾는다!”
.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안성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에서 ‘제11회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서울우유 우유군검정연합회가 주관하는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는 1997년부터 시작된 낙농가 최대 축제로,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국내산 홀스타인 품종 젖소 중 농림축산식품부 젖소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유량과 건강 상태가 뛰어난 젖소를 선발해 국내 낙농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제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60개 농가에서 엄선한 120두의 젖소가 출품돼 국내 최고의 젖소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펼칠 예정이며, 특히 올해 11월 캐나다 ‘로얄 윈터페어 홀스타인 쇼’ 심사를 맡은 조엘 르파쥬 심사원을 초빙하여 심사 전문성을 강화한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낙농가 축제인 만큼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우유, 발효유, 치즈 등 유제품 시식 행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낙농산업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는 로봇착유기, 사료, 첨가제, 낙농기계 등 약 50여개의 낙농기자재 업체 전시회도 열린다. 또한, 낙농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