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우자조금, 설맞이 온라인 '한우장터' 오픈

-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설맞이 온라인 한우장터 운영
- 전국 6개 한우 브랜드 등심, 안심, 채끝, 불고기, 국거리 최대 40% 할인 판매
- 신규회원 및 구매 고객 대상 다양한 경품 증정 이벤트 진행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가 민족 대명절인 설을 맞아 오는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2023년 설맞이 온라인 한우장터’를 개최하고, 우리 한우를 최대 4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전국 9만 한우 농가가 조성한 한우자조금으로 할인 판매 금액을 지원하는 이번 행사는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시대 속에서 명절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온라인 한우장터에는 녹색한우(전남), 늘푸름 홍천한우(강원), 안동비프(경북), 울산축협한우(울산), 장수한우(전북), 토바우(충남) 등 전국 총 6개 브랜드가 참여하며, 등심·안심·채끝 등 구이류와 우둔·설도·목심·앞다리·양지 등 불고기 및 국거리를 최대 4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1등급 한우 100g 기준 등심 6,300원, 안심 8,700원, 채끝 6,800원, 불고기·국거리 2,500원, 양지 4,400원 등 시중가 대비 저렴한 가격에 품질 좋은 한우고기를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다.

온라인 한우장터와 함께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된다. 신규 회원 가입 후 온라인 한우장터 소식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도록 마케팅 수신에 동의하거나 온라인 한우장터 상품 구매 후 리뷰를 작성하면 추첨을 통해 20만 원 상당 한우선물세트, 한우 육포 및 캘린더 등을 증정한다. 당첨자 발표는 1월 20일이다.

민경천 한우자조금 위원장은 “모두가 힘든 시기이지만 명절에 빼놓을 수 없는 선물인 한우로 감사한 마음을 전할 수 있도록 한우농가와 함께 할인 판매 행사를 마련했다”라며, “영양가 풍부한 우리 한우와 함께 힘차게 시작해 지난해보다 도약하는 한 해가 되시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온라인 한우장터는 한우자조금이 매년 설과 추석 시즌 서울 청계광장에서 진행해 오던 한우 직거래 장터를 코로나19 이후 온라인으로 전환해 운영하고 있는 사업으로 올 해에는 명절 외에도 추가적으로 운영·확대할 계획이다. 


온라인 한우장터로 적립된 연간 매출액의 일부는 연말 소외계층을 위한 기부 성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한편 오는 12일부터 21일까지 전국 농축협 매장, 대형마트, 한우영농조합법인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한우 할인 판매 행사를 진행한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