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위생방역본부, 적극행정 우수직원 눈길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위성환, 이하 위생방역본부)는  지난 2일 2022년 적극행정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선정된 우수직원에 대해 시상했다.

이번 공모전은 총 44건의 적극행정 사례가 접수되었으며, 접수된 사례의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위해 내부평가, 적극행정지원위원회 평가를 통해 본부 및 소속기관 각각 2개 사례를 선정하였다.
 


본부 우수상으로는 질병관리청 인수공통감염병 정책연구용역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감염실태 파악·가이드라인 개발 및 큐열 양성자 발견 등에 성과를 낸 “원헬스 전략으로 인수공통전염병을 예방하자”가 선정되었다.
장려상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위험성이 확대됨에 따라 드론을 통해 적극적인 차단방역을 한 “열화상 드론을 활용한 야생멧돼지 집중포획으로, 재난형 가축   전염병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방역에 기여”가 선정되었다.
 
2022년 공모전에는 2차 발표심사까지 도입하여 심사평가를 고도화하였으며, 수상사례 이외에도 가축질병 예방 및 ESG 경영을 반영한 사례 등 적극행정 노력 사례가 6건 발굴되었다.
우수사례로 선정된 수장자에게는 표창 및 포상금과 평가가점 등을 부여하였다.

 


이날 위생방역본부 위성환 본부장은 “지속적인 적극행정 우수 사례 발굴과 그에 대한 확실한 보상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적극행정 문화를 더욱 확산시켜 나아가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만생종 자두’ 폭염으로 생리장해 우려…관리 철저
농촌진흥청은 지속된 폭염으로 만생종 자두인 ‘추희’ 품종에서 생리장해와 품질 저하 등 농가 피해가 우려된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자두 ‘추희’는 일본 품종으로 1990년대 후반 도입돼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자두 재배면적(6,182ha)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 주산지는 경북 의성, 김천, 영천으로, 이 가운데 김천(약 250ha) 지역에서 ‘추희’를 가장 많이 재배한다. 지난해 ‘추희’ 재배지에서는 이상 고온으로 바람들이, 내부 갈변 같은 생리장해가 많이 발생해 올해도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들이는 고온으로 증산량이 많을 때 자두 안의 수분이 사라지면 생긴다. 육질이 퍼석해지는 바람들이 현상이 심해지면 세포가 파괴돼 산화반응이 일어나 자두 속살이 갈변한다. 또한, 성숙기 고온이 지속되면 열매 자람이 더디고 착색 지연까지 나타나 겉으로 보기에 수확 시기가 아닌데도 열매 내부가 이미 익어버리는 ‘이상성숙’ 증상도 보인다.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열매가 노출되지 않도록 햇빛차단망을 설치해야 한다. 햇빛차단망 설치가 어려울 때는 충분한 물주기, 미세살수 장치 가동으로 토양과 지상부 온도를 낮춰야 한다. 미세살수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