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한우자조금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소비촉진 행사 펼쳐

- 11월 9일까지 최대 40% 전국에서 한우 할인판매 행사 진행
- 서울 살곶이 체육공원에서 '한우숯불구이 축제' 개최... 최대 50% 할인


(사)전국한우협회, 농협경제지주,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을 맞아 전국적인 한우 할인 및 시식행사를 개최한다.

먼저 11월 9일까지 14일간 진행되는 한우 할인판매 행사에는 전국 대형마트, 농축협매장 등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 등 약 1천여 개 매장이 참여하며, 우리 한우를 시중가 대비 최대 4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판매처별로 행사 일정과 품목 등 행사 내용이 다를 수 있어 매장 방문 전 세부사항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우자조금’ 홈페이지 또는 ‘한우유명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대적인 할인판매 행사와 함께 10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서울 성동구 살곶이 체육공원에서 ‘한우 숯불구이 축제’도 개최한다. 행사장에서는 1등급 한우 100g 기준 등심 6,800원, 안심 10,900원, 채끝 9,900원, 불고기·국거리 2,800원 등 품질 좋은 다양한 한우 부위를 시중가 대비 최대 50% 할인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

 


구매한 고기는 그 자리에서 바로 숯불에 구워 먹을 수 있도록 2천 석 규모의 테이블이 설치되고,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된다. 아울러 한우 비빔밥 퍼포먼스, 궁중 떡볶이 요리 시연, 한우 꽃갈비를 활용한 아르헨티나식 갈비 퍼포먼스, 한우문화공모전 시상작 전시 등 풍성한 볼거리와 다양한 이벤트가 마련될 예정이다.

이 밖에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울산, 제주 등 전국 각지에서도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을 기념하여 한우 숯불구이 축제 및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각 지역별 행사 일정은 상이하며,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우협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민경천 한우자조금 위원장은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 먹는 날을 맞아 온 국민이 부담 없이 영양가 풍부한 우리 한우를 즐기실 수 있도록 전국한우협회, 농협경제지주와 함께 다양한 행사를 마련했다”며, “한우 농가가 납부한 한우자조금을 통해 마련된 행사인 만큼 한우 농가에 힘이 될 수 있도록 전국에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