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기계 교통사고’ 매년 58명씩 인명피해

- 농기계 교통사고 5년간 2,019건 292명 사망
- 전남, 경북, 충남, 경남, 경기 순...농기계 교통사고 ‘10건 중 8건’ 60세 이상
- 농기계 교통사고 74% 휴대전화 사용, 졸음운전, 운전미숙 등으로 발생

해마다 농기계 교통사고로 58명이 사망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1년) ‘농기계 교통사고’는 총 2,019건이 발생해 292명이 사망하고 2,239명이 부상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427건(70명 사망, 462명 부상)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북 364건(61명 사망, 369명 부상), 충남 241건(35명 사망, 280명 부상), 경남 222건(22명 사망, 238명 부상), 경기 209건(17명 사망, 260명 부상) 순이었다.

농기계 교통사고의 81.0%(1,636건)는 60세 이상이였으며, 30세 이하의 연령에서도 15건 발생했다.

농기계 교통사고의 73.6%(1,486건)는 휴대전화 사용, 졸음운전으로 인한 전방주시 태만, 운전미숙 등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으로 발생했다. 이 외에도 중앙선 침범 8.1%(164건),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5.6%(113건), 통행방해 5.2%(104건), 신호위반 3.4%(69건) 순으로 많았다.

교통사고 유형별로는 ‘농기계와 차’가 60.8%(1,230건), ‘농기계 단독’ 34.0%(687건), ‘농기계 대 사람’ 5.1%(104건), ‘철길건널목’ 0.1%(2건) 순으로 많았다[표5].

신정훈 의원은 “농기계 교통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의 실수로 발생하고 있다”며, “체계적인 안전교육과 안전장치 보급 확대 등 농기계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노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