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권장소비자가격 표시” 공개 주문

신성범 의원, 우수농산물관리제 확대 주장까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신성범 의원(새누리당, 산청·함양·거창)은 농촌진흥청 국정감사에서 “농민들이 농약을 구입할 때 가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농약병에 가격을 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의원은 “지역에서 농민들을 만나면 왜 과자봉지에도 ”희망소비자가“가 적혀 있는데 농약병에는 농약 가격이 표시되어 있지 않느냐는 질문을 자주 듣게 된다”고 말하고, “동일 품목에도 가격 차이가 있고, 판매상과 판매시기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탓에 실제로 구입하는 가격이 적정가격인지 농민들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민들의 혼란을 막고 안정적인 유통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도 출고할 때 농약병에 가격을 표시하도록 제도를 고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양호 농촌진흥청장은 “1999년부터 업체의 담합 우려가 있어 권장소비자 가격이 폐지되고 판매가격표시제로 변동되었다고 말하고, 판매가격 표시제도 강화로 갈 것인지, 권장소비자가격 표시를 재도입할 것인지 농민단체 대표, 업체 대표, 관계 부처와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또한 신의원은 “2016년 폐지되는 저농약 인증제의 대안으로 GAP농법 확산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농약인증 농가들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유기농이나 무농약 전환하기보다는 기존 농법이나 관행 농업으로 돌아가겠다는 의사가 높게 나왔다”고 소개하고, “우수농산물관리제(GAP)는 위해요소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이력 추적이 가능한 안전한 농법인 만큼 저농약 인증제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고 GAP 확산을 위한 농진청의 노력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이청장은 “GAP 확산을 위해 농민 교육을 확대하고 있고 제도적인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나남길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진흥청, 저탄소 농업에 박차!... '감탄' 벼 품종개발 화제
8월 18일은 쌀 산업의 가치 인식을 확산하고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지정된 '쌀의 날'이다. 쌀은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주식(主食)으로 자리해 온 중요한 곡물이다. 과거에는 생존과 직결된 식량이자 농경사회와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핵심 작물이었고, 현대에는 농촌 경제의 중심이자 식품산업과 국가 식량안보를 견인하는 중요한 자원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최근 이상기후와 병해충의 증가, 온실가스 배출 문제 등으로 벼 재배 여건이 악화하면서, 쌀 생산을 둘러싼 농업 환경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메탄 발생을 줄이면서도 품질과 생산성은 갖춘 저탄소 벼 품종 ‘감탄’을 개발해 기후 위기 대응 및 농업 탄소 감축에 노력하고 있다. ‘감탄’은 유전자 조작 등 인위적인 방법을 쓰지 않고 자연적으로 벼에서 발생한 ‘지에스쓰리(gs3)’ 유전자를 전통 육종 방법으로 도입해 개발한 품종이다. 벼는 생장하면서 뿌리에서 메탄을 발생시키는 고세균 먹이 물질(메타노젠)을 배출하는데, 지에스쓰리 유전자는 이 물질이 적게 분비되도록 작동해 메탄 발생을 줄이고 대신 벼알을 굵게 하는 역할을 한다. - 2030년까지 농수축산업 온실가스 27.1% 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