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진청 ‘자동착유시스템’ 설치농가 65% 노동력 절감

농촌진흥청, 농가 대상 만족도와 도입 희망 여부 조사 나서기로

자동착유시스템설치농가 65% 노동력 절감

농촌진흥청, 농가 대상 만족도와 도입 희망 여부 조사 나서기로

 

우유를 자동으로 짜주는 자동착유시스템(AMS)’을 설치한 농가 중 65%노동력 부담을 덜기 위해 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시스템은 로봇착유시스템으로도 불리며, 노동력은 덜고 산유량은 늘리면서 정밀한 젖소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스템 운용과 비용 부담으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고려대학교, 한경대학교와 함께 자동착유시스템을 설치한 농가 20곳과 설치하지 않은 농가 80곳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 방식으로 만족도와 설치 희망 여부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시스템을 사용하는 농가의 55%는 만족, 35%는 보통, 10%는 불만족이라고 응답했다.


노동력 절감에 대해서는 65%가 만족, 10%가 불만족이라고 답했으며, 유량 증가에 대해서는 60%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 동기로는 노동력 절감(65%), 업체홍보, 직원고용 등 기타(20%), 체험목장 전환을 위한 전시효과(10%), 산유량 증가(5%) 등을 꼽았다.


운영상 어려운 점은 유두탐지지연 등 기계 실수(40%), 자동착유시스템유지와 관리(20%), 미적응 개체 관리(15%) 순으로 나타났다. 자동착유시스템을 설치한 후 주요 도태 원인은 부적합 유두 배열(55%), 유방염(20%) 순이었다. 유지보수 계약 체결 관련 질문에는 90%가 업체와 계약해 운영 중이며, 한 해에 500만 원700만 원 정도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자동착유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은 일반 낙농가 80곳에 대한 설문도 함께 실시했다. 설치하지 않은 농가의 31%앞으로 자동착유시스템 도입을 희망한다라고 답했으며, 이유로는 노동력 절감(85%)’을 꼽았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자동착유시스템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농가에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하고, 이미 도입한 농가에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