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돈' 브랜드 경쟁력 강화차원, 유통홍보위원·인증점 워크샵 가져

이병규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위원장, 인증점 발전위한 간담회

한돈 유통홍보위원·인증점 워크샵

한돈자조금, 인증점 발전위한 간담회 가져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병규)는 최근 대전 계룡스파텔에서 한돈유통홍보위원 및 인증점 대표자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이날 워크샵에서는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이병규 위원장을 비롯하여 한돈자조금 직원, 한돈유통홍보위원, 각 지역 인증점 협의체 대표자 등이 참석하였으며, 한돈유통홍보위원 역량발전 교육 진행, 한돈판매인증점 BI 관련 의견 청취, 인증점 발전을 위한 간담회 등을 진행하였다.

이번 워크샵을 통하여 한돈판매인증점 관리 역량 강화, 매출증대를 통한 인증점의 질적향상, 인증점에 대한 자부심 고취 등 한돈 판매점 인증사업 제2도약기를 위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병규 위원장은 소비자가 믿고 찾는 인증점이 될 수 있도록 질적향상을 위해 점주 스스로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활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이번 워크샵을 계기로 한돈판매인증점 발전을 위해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한돈유통홍보위원, 인증점 협의체 대표자 모두 합심해서 노력하자고 말했다.


한편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에서는 2015년 신규 인증점을 116일까지 우편접수로 모집하고 있으며 엄격한 심사를 통한 수준 높은 인증점을 선별하여 신규 인증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인증점 대상으로 23월 지역별 영업활성화 교육을 진행하여 인증점 수준향상을 유도하는 등 한돈판매점 인증사업 제2도약을 위한 발걸음을 계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곽동신 기자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