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우리 농산물의 새 이름 ‘해담쌀’, ‘흑생’

농촌진흥청, 제5회 우리 농산물 이름짓기 공모 62점 선정

우리 농산물의 새 이름 해담쌀’, ‘흑생

농촌진흥청, 5회 우리 농산물 이름짓기 공모 62점 선정

 

농촌진흥청에서 올해 육성한 벼와 땅콩에 해담쌀’, ‘흑생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우리 농산물 이름 짓기 공모심사 결과, 최우수상 2점 등 모두 62점을 선정했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이번 공모전에는 벼 179, 땅콩 179건 등 모두 358건이 접수됐다.

최우수상에는 계절과 계절 사이에 해를 담은 벼를 의미하는 해담쌀’, 검을흑()과 낙화생(落花生)의 합성어인 흑생을 선정했으며, 이들은 새 품종 이름에 사용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임상종 원장은 “‘농산물 이름 짓기공모에 많은 관심을 보여 주셔서 감사드린다.” 라며, “이번 공모전처럼 국민과 친밀하게 소통하면서 다가가는 농업 연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라고 밝혔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