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중앙회, 국내산 축산물 군납 대폭 확대!

축산업계 숙원사항인 수입쇠고기 급식기준량 완전 삭제, 쇠고기 1만두, 돼지고기 3만두, 오리고기 10만수 급식 확대

농협, 국내산 축산물 군납 대폭 확대!

축산업계 숙원사항인 수입쇠고기 급식기준량 완전 삭제

쇠고기 1만두, 돼지고기 3만두, 오리고기 10만수 급식 확대

 

농협 축산경제(대표이사 이기수)는 국방부로부터 2015년 군 급식방침이 확정 통보(19)되었다고 밝혔다.

방침에 따르면 2015년부터 군 급식에서 수입쇠고기 기준량이 완전히 삭제되고 100% 국내산 쇠고기로 공급하게 되었으며, 이에 소요되는 예산 약 150억원은 국방예산에 전액 반영되었다.

그동안 농협은 군 급식 수입쇠고기를 국내산 쇠고기로 급식하여 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하여 왔다. 2012년에는 축산발전기금을 투입하여 국내산 쇠고기로 대체 급식하였고, 2013~2014년에는 당초 정부예산에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축산발전기금과 국방예산 분담을 최종적으로 이끌어내 한시적이나마 국내산 쇠고기로 대체공급 할 수 있었다.


이에 농협은 국내산 쇠고기 100% 군 급식을 축산업계 숙원과제로 정하고 국회와 정부를 대상으로 전사적 농정활동을 펼쳤다. 그 결과 마침내 2015년부터는 수입쇠고기 기준량 자체를 삭제하고 국내산 쇠고기만으로 군 급식 메뉴를 편성하게 된 것이다.


장병 11일 수입쇠고기 기준량 9g(연간 1,500)을 국내산으로 전면 대체할 경우 연간 약 1만 두의 소비시장이 새로 창출되어 가격 안정과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장병 급식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15년에는 돼지고기는 장병 11인당 60g(연간 9,850)에서 69g으로, 한우갈비는 150g 1회에서 3회로, 오리고기는 150g 9회에서 12회로 급식기준량을 대폭 확대한다.

 

농협은 동시다발적인 FTA 확대로 축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 국내산 축산물 군납 확대는 축산농가에게 커다란 힘이 된다고 밝히고, 군 장병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1229일 전방부대(포천 소재 5군단) 위문 방문을 비롯해 각 군지사, 해병대 등에 위문품을 전달할 계획이다.

한편 농협은 군납 축산물 품질향상을 위해 쇠고기 군납 가공장 건립도 새롭게 추진하고 있으며, 품질보증 활동을 강화하여 더욱 안전하고 위생적인 축산물 공급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