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똑똑한 소비자들… ‘GAP인증’ 마크부터 확인!

농협, 안전ㆍ안심 국가인증 GAP농산물 판촉전 통해 우리농산물 소비촉진 기대

농협중앙회(회장 최원병)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31일 농협대전농산물유통센터에서 GAP(우수관리인증) 농산물 홍보를 위한「안전ㆍ안심 국가인증 GAP농산품 판촉전 홍보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농식품부, 농협, GAP생산자 협의회 및 GAP관련 단체 등이 참여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 27일부터 11월 2일까지 수도권 농협 하나로클럽 6개소(양재, 창동, 고양, 성남, 수원, 대전)에서 진행되는 GAP 농산물 판촉전 홍보를 위해 마련된 것이다. 농협은 GAP 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제고 및 GAP인증 농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GAP인증 농산물 판촉행사, GAP 홍보 동영상 상영, GAP인증 농산물 시식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우수관리(GAP)농산물이란 정부가 정한 위생안전 기준에 따라 생산된 농산물로서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 관리, 유통의 각 단계에서 농경지 및 농업용수 등의 농업환경과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중금속 또는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종합적으로 관리한 농산물을 의미한다.
농협중앙회 이상욱 농업경제대표이사는 “소비자들이 안전·안심 GAP인증 농산물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번 행사를 통해서 GAP인증 농산물 공급이 확대되길 희망한다”면서 “소비자들이 국가가 인증한 안전 GAP농산물을 안심하고 많이 드셨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