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농사용 ‘전기료 판’ 다시 짜라!

농업에 불리한 요금체계 개편 두고 볼 건가?

-사설- 농사용 ‘전기료 판’ 다시 짜라! 농사용 15% 비싼 요금까지 감수할 판! 104년만의 가뭄에···이젠 폭염이 전국을 푹푹 찐다. 전기사용도 과부하로 아우성이다! 전기요금을 관장하는 지식경제부가 고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가정용을 비롯해 전기요금을 평균 4.9% 인상했다. 이 때문에 농사용 전기료도 3%가 인상됐다. FTA로 농업피해가 갈수록 커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덩달아 농사용 전기료가 인상이 된 것도 문제지만 11월부터 농업에 불리한 농사용 요금체계를 개편하겠다는 것도 큰 문제다. 한전과 지경부는 요금체계를 1kw당 갑 340원, 을 930원, 병 1,070원씩 부과해 왔으나 11월부터는 을·병 요금으로 통일시켜 을요금을 적용받던 농가들은 앞으로 3%에다 15% 오른 1,070원짜리 병 전기료를 내야 할 것 같다. 농사용 면세유와 전기료는 그나마 농업의 경쟁력을 높여주는 단비같은 존재지만 요즘에 와서는 매번 그 지원 수위를 낮추려는 움직임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아마 이 같은 지원이 사라진다면 엄동설한 1월에 출하되는 딸기 한팩을 5만원의 웃돈을 줘야 그 맛을 볼게다. 쉽게 말해 일반서민은 못 먹는 다는 말이다. 당국은 그동안 농사용 전기료를 인상하겠다고 꾸준히 요구해 왔으나, 매번 농민들 저항이 커 그때마다 주저 앉았다. 11월안에 농사용 전기료 판을 다시 짜 보자!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검역본부, '동물줄기세포' 연구성과 활용과 협력 강화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는 국내 인체 및 동물줄기세포 민·관·학 전문가가 참여하는 ‘동물줄기세포 연구개발 심포지엄’을 최근 경북 김천 소재 검역본부에서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줄기세포 및 오가노이드(organoid)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동물용의약품 개발과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오가노이드(organoid)는 줄기세포나 특정 조직 세포를 배양하여 실제 장기와 유사한 기능을 재현하는 3차원 세포 집합체이다. 심포지엄에는 국내 줄기세포 및 오가노이드 분야를 선도하는 전문가 5명이 연자로 참여하여 최신 연구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을 발표하였다. 먼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주경민 교수는 연구·개발 중인 줄기세포치료제 및 세포유전자치료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모달리티를 활용한 줄기세포 효능 강화기술, 조직 특이적 줄기세포의 정밀 분리·배양·제조기술 등 두 가지 핵심 플랫폼을 소개하며,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히스템’, ‘씨스템’ 등 치료제 개발 현황을 발표하였다. 자체 줄기세포 생산시스템을 보유한 충현동물병원 강종일 원장은 개 태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활용한 임상 적용 사례를 발표하였다. 만성신부전, 간질,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