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농협, 수출공동브랜드 K시리즈 기대

우유제품 등 신선농산물-가공식품 수출 ,수출확대를 위한 NH무역 역할 긴요

농식품 수출확대에 대한 농협의 주도적인 역할이 강화될 전망이다.

농협이 수출에 힘을 실은 배경에는 농식품 수출확대로 농업인의 소득증대 및 글로벌 경쟁력 있는 농식품 생산에 대한 대내외 기대부응과 경제사업 활성화 및 농식품 판매확대에 수출로 선도적 역할이 떠 올랐기 때문이다.

또, 우수농산물 생산을 통한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으로 수출시장에서 농협 점유율 확대 및 1등 수출농산물 육성도 시급해 지고 있다.

전 농협 계통조직의 역량 총 결집으로 농식품 수출의 대도약(Quantum Jump) 추진하고 중앙회·NH무역·수출농협 간 역할분담 및 통합마케팅 추진으로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데 있다.

신선농식품 중심에서 축산물과 유제품, 가공식품 등에 대한 투자확대로 신시장 개척으로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농협 농식품 수출창구로서 NH무역 역량강화로 해외마케팅 능력을 높여 나가는데 초점을 맞춰 놓고 있다.

한중 FTA 대비 대 중국 농식품 수출 확대를 도모하고 공세적 수출로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중국의 신시장 공략을 서둘러야 한다.

수출여건을 보면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도 한몫을 해주고 있다.

2017년 농식품 수출 100억$ 목표로 수출농업 육성을 위해‘민관 수출개척협의회’등 정부주관 수출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해 지고 있다. 한중 FTA 체결시 한국 농식품의 대 중국 수출확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한중 FTA를 한국 농식품 대 중국 수출확대가 필요하다. 엔저(円低)지속 및 수출시장에서 저가 중국산과의 가격경쟁력 심화로 한국산 농식품의 경쟁력 약화와 일본의 양적완화정책 영항으로 주 수출품목인 파프리카, 화훼뿐만 아니라 신규추진 농식품 진입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대만, 홍콩 등 한국의 주 수출시장에서 경쟁중인 중국산의 품질향상 및 저가 공세로 한국 농식품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중국의 고소득자 증가에 따른 한국 농식품 시장진입 기회가 확대되고 있고 중국 소비자의 소득증가로 고품질 농식품 시장진입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

연소득 20만 위안 (한화 36백만원) 규모의 부유층이 2,842만명으로 향후 한국 농식품 주 소비층 확보도 가능하다. 중국 소비자의 한국산 제품(분유, 우유 등)에 대한 신뢰도 증가로 가공제품이 유망품목으로 성장 중이다. 현재 우유 대중국 수출은 2012년 3백만$에서 지난해에는 9백만$로 139% 증가하는 등 우유 수요층 확산이 빨라지고 있는 것도 농협의 수출 의지에 긍정적인 신호로 다가서고 있어 이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기획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경농, '노균병, 걱정 뚝'…시금치계의 ‘강철템’!
여름철 농작물 재배를 어렵게 하는 것은 각종 병해다.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병해는 작물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생산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내병성 품종을 고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농의 종자 전문 브랜드 동오시드의 여름 전용 시금치 ‘다크그린’과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특히 강해 수확량은 물론 재배 편의성도 크게 향상시킨다. 다크그린은 더위에 매우 강해 동오시드가 더운 여름철에 특히 강력 추천하는 시금치다. 극만추대성으로 노균병에 매우 강하며 토양 적응성이 좋고 내습성이 뛰어나 위조병 내병성도 지녔다. 또한 수확기에도 작물이 망가지기 않고 밭에서 잘 버티는 재포성도 훌륭하다. 엽색은 매우 진하고, 모양이 우수하다. 엽면이 잘 서있어 작업하기에도 용이한 품종이다.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매우 강한 품종이다. 잎의 색이 변하거나 시드는 등 노균병에 따른 피해 우려를 크게 줄인다. 또한 토양적응성이 좋고, 내습성도 훌륭해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재배안정성이 높다. 엽색이 매우 진하고 광택이 우수해 상품성이 뛰어나다. 내병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수확 품종으로, 최고의 상품성을 보장한다. 동오시드 관계자는 “두 품종 모두 엽색 등 품질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