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귀농·귀촌

한우자조금 "저속노화...한우 영양가치 풍부"

- 건강 키워드 ’저속노화’... 단백질·아연·비타민 B군 등 영양성분 풍부한 한우 식재료 주목

5060세대를 중심으로 식탁에 대한 관심이 ‘건강’으로 옮겨가고 있다. 맛과 품질뿐만 아니라 건강까지 고려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단순한 식사를 넘어 ‘삶의 질을 위한 식사’를 고민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른바 ‘미식 중년’이라 불리는 이들은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만족스러운 한 끼를 중시하며, 최근에는 노화의 속도를 조절하고 활력을 유지하는 ‘저속노화(slow aging)’ 개념과 맞물려 새로운 식문화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면역력과 체력 관리가 중요한 환절기를 맞아, 영양 균형을 고려한 식단과 조리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아연, 비타민 B군 등 다양한 영양소를 두루 갖춘 ‘한우’를 활용해 미식 중년을 위한 저속노화 식단을 소개한다.

 


▶ 건강한 식탁을 위한 첫걸음, 균형 잡힌 영양의 한우


식습관을 통해 저속노화를 실천하려는 중년층이 식단에서 가장 중시하는 요소는 ‘균형’이다. 한 가지 영양소에 치우치지 않고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을 고루 섭취하는 것이 핵심이며, 한우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대표적인 식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는 필수영양소 단백질뿐만 아니라 철분, 아연, 비타민 B12를 포함한 B군 복합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아연은 면역세포 활성화와 세포 회복에 기여해 면역력 유지에 도움을 주고, 비타민 B12는 나이가 들수록 체내 흡수율이 낮아지므로 꾸준한 섭취가 필요하다. 또한, 한우에 포함된 불포화지방산은 심혈관 건강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한우는 단순한 보양식을 넘어 ‘지속 가능한 건강 식단’으로 평가 받고 있다.


▶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식문화 변화, 한우 중심 식단으로 확산


저속노화를 위한 식습관은 거창한 식단 변화가 아니라, 매일 반복되는 식사의 질을 조금씩 높이는 데서 출발한다. 중년층 소비자는 조미료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연 그대로의 재료 맛을 살리면서, 영양 균형까지 고려한 조리법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우는 영양은 물론 조리 편의성과 활용도 면에서도 뛰어난 식재료로 자리잡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한우 샤브샤브는 기름기 없는 육수와 다양한 채소를 곁들여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저염식이 가능해 환절기 건강식으로 적합하다. 한우 채소쌈은 간단한 조리 과정만으로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동시에 섭취할 수 있어, 균형 잡힌 한 끼로 손색이 없다.

 

이 외에도 한우 양배추 덮밥, 한우 샐러드 등 다양한 한우 레시피도 꾸준히 활용되며, 중년층 식탁의 선택 폭을 넓히고 있다.


한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다면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운영하는 온라인 사이트 '한우유명한곳‘ 또는 유튜브 채널 ‘한우자조금’을 방문해 보자. 한우의 영양학적 효능, 요리별 부위 선택 가이드와 더불어 다양한 한우 레시피를 확인할 수 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민 호흡기 건강, 잎들깨 식물특허 ‘숨들’로 지킨다
국내 잎들깨는 로즈마린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 ‘들깻잎’이 기를 상하로 소통시키고, 기침, 천식 등을 치료한다’라는 기록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지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개선에 효과가 있는 국산 잎들깨 ‘숨들’을 육성하고, 그 효능을 과학으로 입증했다. ‘숨들’은 ‘숨쉬기 편하게 하는 들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약 200종의 잎들깨 자원에서 호흡기 건강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원 56종을 1차 선발하고, 대량검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염증 및 점액 과분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자원으로 최종 선발한 잎들깨를 식물특허로 육성했다. ‘숨들’ 잎 추출물을 미세먼지(PM2.5)로 자극한 인체 유래 비강 세포에 처리(in vitro, 세포실험)했을 때, 기관지 염증이 대조 품종(‘남천’) 대비 2.8배 감소했으며, 과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