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 출시...한 달여 만에 200만 봉 판매 돌파 화제

- 지난달 5일 출시한 더미식 오징어라면, 출시 한 달여 만에 200만봉 판매 기록
- 온라인 쇼핑몰과 SNS서 “진한 오징어의 풍미와 쫄깃한 면발의 조화” 등 시원 칼칼한 국물맛 호평


종합식품기업 하림은 ‘더미식(The미식) 오징어라면’이 출시 한 달여 만에 누적 판매 200만 봉을 돌파했다고 17일 밝혔다.
 
더미식 오징어라면은 하림이 더미식 브랜드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해물류 라면 제품으로, 출시 한 달여 만에 판매량이 200만 봉을 넘어섰고, 일부 온·오프라인 채널에서는 하루 만에 약 1만 봉이 팔리는 등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실제 온라인 쇼핑몰과 SNS에는 ”진한 오징어의 풍미와 쫄깃한 면발의 조화가 좋아요”, “오징어 건더기가 쫄깃하고 맛있고 국물 맛도 진해서 밥 말아먹으면 더 맛있네요”, “그동안 먹어본 해산물 라면 중 최고예요” 등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후기가 이어지고 있다.
 
더미식 오징어라면은 주재료인 오징어와 새우·멸치·가리비·홍합·황태 등 5가지 해산물을 정성껏 우려낸 해물 육수에 국내산 무와 청양고추, 고춧가루를 넣어 시원하면서도 칼칼한 국물맛이 특징이다. 면은 육수를 넣고 반죽해 고소한 풍미를 살렸으며, 동결건조한 오징어를 건더기로 넣어 쫄깃한 식감을 더했다.
 


하림은 MZ세대를 중심으로 컵라면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추운 겨울철, 언제 어디서나 오징어라면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용기면도 잇달아 선보였다.
 
특히, 더미식 오징어라면 광고 캠페인은 더미식 브랜드 모델이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2’ 주연 배우인 이정재를 비롯해 넷플릭스 인기 예능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시즌 1에 출연했던 인물들이 대거 카메오로 등장해 시청자로 하여금 광고 속 흑백요리사 셰프들을 찾아보는 재미를 더했다.
 
광고에 등장한 최현석 셰프와 중식여신 박은영 셰프, 크리에이터 승우아빠 등은 글로벌 스타 이정재를 보고도 아랑곳하지 않고 오징어라면을 먹는 데만 집중해 웃음을 자아냈으며, 이정재의 품격 있는 면치기와 최현석 셰프의 호쾌한 면치기가 이어져 화제가 됐다.
 
하림 관계자는 “기존 라면과 차별화되는 오징어 풍미 가득한 국물이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더미식 브랜드를 통해 다양한 라면 신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림은 오는 31일까지 ‘더미식(The미식) 오징어라면’ 멀티팩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100% 당첨되는 경품 행사 ‘The미식 게임(부제: 자동차를 차지할 단 한 명의 승자는?)’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더미식 오징어라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성원에 보답하고자 기획됐다. 

 

 행사 참여방법은 더미식 오징어라면 멀티팩을 구매한 후 안에 동봉된 쿠폰 뒷면을 긁어 확인하면 된다. 1등 당첨자에게는 현대자동차 ‘쏘나타(SONATA The Edge)’를, 참가자 전원에게는 ‘더미식 장인라면’ 1봉을 증정한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