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멸균우유' 수입급증...긴 유통기한 의심 키워?

-우유자조금 "우유는 신선식품인 만큼 유통기한  짧고 냉장 보관이 필수"

 

최근 관세청에 따르면 멸균우유의 수입량이 점점 늘어나며 2024년 상반기에는 지난해보다 45% 급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보관의 용이성 등을 이유로 수입산 멸균우유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가 늘고 있긴 하지만,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수입산 멸균우유의 경우 생산 후 최소 30일 이상 긴 유통 과정을 거쳐 국내에 반입된다. 특히 유통기한은 1년으로 설정돼 있는데 먼 거리, 장시간 배를 타고 들어와야 하는 만큼 길 수밖에 없다. 국내 온라인에서 판매 중인 수입 멸균우유 5종(믈레코비타·갓밀크·밀키스마·올덴버거·오스트렐리아스)의 유통기한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제조 후 3~4개월이 지난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덴버거의 경우 제조 후 평균 5개월이 지난 제품이 판매되고 있었다.

한편, 국내산 멸균우유는 유통기한을 12주 내외로 짧게 설정해 관능 품질을 높였다. 생산 후 12주가 지나면 유지방이 분산되는 크림화 현상이 발생해 소비자들이 품질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매일 마시는 우유는 바로 살균우유다. 국내산 살균우유는 착유 후 적정 온도로 바로 냉각시킨 다음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원유를 살균 처리만 거쳐 2~3일 내 유통한다. 신선식품인 만큼 유통기한이 11~14일 정도로 짧고 냉장 보관이 필수다.


국산 우유는 우유갑에서 원유 품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우수한 품질을 자랑한다. 원유의 품질은 젖소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체세포 수’와 착유 환경의 청결도를 가늠할 수 있는 ‘세균 수’로 결정한다. 국내 원유 등급 체계는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수준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정한 국산 우유의 가장 높은 품질 등급은 1A다. 원유 1㎖당 체세포 수 20만 개 미만, 세균 수 3만 개 미만이면 1A 등급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낙농 선진국인 덴마크와 같은 수준이다. 또 다른 낙농 선진국으로 꼽히는 독일(1㎖당 체세포 수 40만 개 이하, 세균 수 10만 개 이하)과 네덜란드(1㎖당 체세포 수 40만 개 이하, 세균 수 10만 개 이하)보다 엄격하다.

또 농림축산검역본부 동식물위생연구부 세균질병과가 진행한 ‘2023년 원유 검사’ 결과 지난해 집유 된 원유의 체세포 수 1등급 비율은 69.13%로 전년 대비 4.25%p 증가했다. 세균 수 1등급 비율도 99.59%로 전년 대비 0.05%p 증가했다. 목장 원유의 질은 매년 향상되고 있음을 증명한 셈이다.

남녀노소 막론하고 간식 및 식사 대용으로 사랑받는 우유는 음식에서 부족한 단백질을 채워주며 22가지 필수영양소 중 18가지를 포함하고 있어 맛도 좋고 영양도 챙길 수 있는 훌륭한 음료다. 국내 우유 시장에서의 소비자 선택권이 확대되고 있지만 원유 품질과 신선도, 유통기한 등 꼼꼼하게 따져보고 현명하게 선택하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가락시장 한국청과 한농대에 장학금 쾌척
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이주명)는 9월 4일 한농대에서 한국청과 주식회사(대표 박상헌)의 한농대 발전기금 1억원 기탁식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기탁 행사는 한농대 이주명 총장과 한국청과(주) 박상헌 대표 및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한국청과(주) 박상헌 대표는 지난해 12월 9일 한농대에 1억원의 발전기금을 기탁한 데 이어, 올해도 1억원을 기탁하여 총 2억원의 발전기금을 한농대에 기탁하였다. 한농대는 한국청과(주) 기부금을 ‘한국청과 장학기금’으로 조성하고, 그 이자 수익을 활용하여 한농대의 우수 청년농어업 인재에 대한 장학금 지원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청과(주) 박상헌 대표이사는 “우리 농어업의 미래는 청년들에게 달려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한국 농어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농어업 인재를 육성하는 한농대에 대해 기부를 하게 되었다”고 하면서, “앞으로도 책임있는 농식품 기업으로서 미래 농업 인재 양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주명 총장은 “한국청과(주)의 이번 기부는 대학과 농식품 기업이 함께 농업 인재 양성을 위해 협력하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하면서, “일회성 기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가락시장 한국청과 한농대에 장학금 쾌척
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이주명)는 9월 4일 한농대에서 한국청과 주식회사(대표 박상헌)의 한농대 발전기금 1억원 기탁식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기탁 행사는 한농대 이주명 총장과 한국청과(주) 박상헌 대표 및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한국청과(주) 박상헌 대표는 지난해 12월 9일 한농대에 1억원의 발전기금을 기탁한 데 이어, 올해도 1억원을 기탁하여 총 2억원의 발전기금을 한농대에 기탁하였다. 한농대는 한국청과(주) 기부금을 ‘한국청과 장학기금’으로 조성하고, 그 이자 수익을 활용하여 한농대의 우수 청년농어업 인재에 대한 장학금 지원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청과(주) 박상헌 대표이사는 “우리 농어업의 미래는 청년들에게 달려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한국 농어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농어업 인재를 육성하는 한농대에 대해 기부를 하게 되었다”고 하면서, “앞으로도 책임있는 농식품 기업으로서 미래 농업 인재 양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주명 총장은 “한국청과(주)의 이번 기부는 대학과 농식품 기업이 함께 농업 인재 양성을 위해 협력하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고 하면서, “일회성 기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