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쌀 수출에 박차!...전남쌀 글로벌 도약 선포!

박서홍 농협대표 “쌀과 쌀 가공식품이 수출 효자품목되도록 지원할 것"


농협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 박서홍)가 9월 3일  전남지역 소재 담양군통합RPC에서 ‘전남농협 쌀 수출 확대! 글로벌 도약 선포식!’을 개최하였다.

이번 선포식에는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를 비롯해 이병노 담양군수, 정철원 담양군의장, 김문수 전남도의회 농수위원장, 쌀 수출 농협 조합장 및 RPC 대표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였다.
이날 행사는 전남농협 쌀 1,000톤 수출을 결의하기 위한 자리로 전남 쌀 수출 경과보고, 수출탑 쌀 채우기 퍼포먼스, 쌀 수출 선적식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번 선포식은 농협, 전라남도, 담양군 등 민과 관이 협력하여 전남 쌀의 글로벌 진출 의지를 다지는 첫 선포식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농협은 9월 두바이, 뉴질랜드 수출을 시작으로 미국, 호주, 프랑스 등 해외 11개국에 올 연말까지 총 1,000톤의 전남 쌀을 수출할 계획이다.

박서홍 대표이사는 “이번 선포식을 개최한 전남지역 쌀을 비롯하여 우리 쌀에 대한 우수성을 해외시장에 적극 홍보하겠다”며 “농협경제지주는 K푸드 열풍을 기회로 삼아 국산 쌀과 쌀 가공식품이 수출 효자품목이 되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협은 우리 쌀의 인지도 제고 및 수출 품목 다각화를 위해 올해 최대 5,000톤의 쌀 수출을 목표로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현지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물류비와 시장개척비 등 예산 100억 원을 투입한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